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안전시스템을 지원하는 센서 기술 동향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2010년 세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124만 명이고, 2020년에는 19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교통사고 사상자 수를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복잡한 안전시스템이 개발되어 매년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다. 승객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차량 안전시스템은 능동적 안전 시스템과 수동적 안전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실용화 안전시스템에는 미끄럼 방지장치(ABS, anti-lock brake system), 차량 구동력 제어 시스템(TCS, traction control system), 차량 자세제어장치(VDC, vehicle dynamic control)등이 있고, 능동적인 안전시스템에는 사각지대 경고 시스템,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시스템, 차선경보 시스템, 충돌예방시스템, 액티브 헤드램프 시스템 등이 있다.

 

최신 기술을 반영한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의거 수동적 안전시스템들이 ACC(auto cruise control)와 같은 운전지원시스템을 포함한 능동적 안전시스템으로 변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 안전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다중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본문에 안전시스템의 진보를 지원하는 센서 기술의 발전 동향에 대해 기술한다.

 

최신 운전자보조 장치 ADAS(Automotive Driver Assistance Systems)는 비전이나 초음파 센서를 기반으로 주차 보조, 차선 이탈 경고, 사각지대 감지 등에 사용되며 센서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세계의 자동차용 센서 기술 시장은 2012년에 약 152억 달러 규모에서 2017년에는 22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자동차 안전장치에 관한 국내 특허출원건수가 2010년 10건에서 2013년 65건에 달해 이 분야의 기술개발이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자동차 기업도 교차로 신호 정보 시스템, 보행자 경보 시스템, 교차로 지원 시스템, 도로 정보 제공 시스템,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 응급상황 비상정지 시스템 등 다양한 능동 안전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에 선도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자
Takahiko Yoshi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68(4)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9~26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