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계의 가축, 환경 및 사람을 순회하는 살모넬라의 최신 동향

전문가 제언

살모넬라균은 식품 매개질환의 주요 원인 병원체로서 사람, 동물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세균성 병원체로서 2개의 종, 6개 아종으로 세분되고, 2,600종 이상의 혈청형으로 구분된다. 식중독을 유발하는 대표적 균종은 S. Enteritidis 및 S. Typhimurium이다. 

염된 사람의 분변에서 많은 양의 살모넬라균을 포함하고 있으며, 고기나 감염된 동물로부터 만들어진 식품 그리고 살균되지 않는 우유와 유제품 중요한 살모넬라균 매개체이다. 식육과 난류가 주된 오염원이나 실제 식중독 발생사례는 특정식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다. 이는 도시락의 반찬으로 식육제품들이 흔히 사용되고 있고 메추리알이나 계란을 이용한 식품들이 조리되어 널리 섭취되기 때문이다. 

살모넬라균은 다양한 가축 및 동물 등에 오염될 수 있으며 이와 연관된 식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살모넬라균의 오염은 이러한 오염된 물이나 사람과의 직접적 접촉을 통하여 또는 이들의 분변에 의하여 오염된 환경에서 전염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세척, 가공온도 및 저장조건이 지켜지지 못한다면, 살모넬라균이 번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오염된 식품을 통하여 다른 식품과 교차 오염될 수 있다. 

국내 식품공전에 살모넬라에 대한 식중독균 기준은 식육(제조, 가공용 원료 제외한다),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하였거나 더 이상의 가공, 가열조리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가공식품에서는 음성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혈청형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분리율이 매우 높은 혈청형인 S. Typhimurium의 변이형으로 알려진 단상 편모 살모넬라균(Salmonella I 4,[5],12:i:-)의 분리율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분리는 설사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 국한되어 보고되었는데 이에 국내 분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며, 사람에게 관련 임상 증상, 역학적 자료 조사 및 병원성에 대한 연구도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Yukio MORIT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31(3)
잡지명
日本食品微生物???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48~152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