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경화형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s)에 있어서 광경화(photo-curing)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수용성 광가교형 점착제, 무용제형 광가교형 점착제는 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제품으로 되어있고, 자동차, 건축, 일렉트로닉스, 의료, 인쇄, 광학계 분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 근년에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서 용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 환경부하 저감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광경화형 점착제는 이들과 바로 매치되는 기술이고, 앞으로 더욱더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다. 이 기고에서는 광경화형 점착제로서 광경화 프로세스와 광기능성 점착제에 관한 최근 보고 예를 바탕으로 하여 소개한다.
○ 광경화 프로세스는 종래 열건조 프로세스에 비해서 에너지의 이용 효율이 높고, 에너지절약화의 관점에서 보면 금후 더욱 더 중요하게 될 것이다. 광중합형 점착제는 광라디칼 중합에 의해 경화시키기 때문에 대기 중에 산소 차단(질소 purge 등)할 필요가 있다. 최대 메리트는 수 100㎛이상의 후막(thick film) 제작이 용이하다. 근래에 개발이 되고 있는 도전테이프, 열전도테이프 등의 특수 용도로 이용된다.
○ 광기능성 점착제중에서 광 조사에 의해 아크릴공중합체에다 에폭시수지의 양이온중합과 triaryl sulfonium salt(광산 발생제)에 의해 점착력이 크게 증대하는 결과를 얻었다. 근년에는 간단하게 박리할 수 있는 역해체성 점착제들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 중합체는 탈 보호반응을 신속히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광과 열의 트리거가 필요로 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현재 전기전자 분야인 클린 광학필름의 점착 가공에서 아크릴 수지계 UV형 점착제로 대체와 입체 구조물의 3D 경화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UV 양이온 경화는 산소저해를 받지 않고, 광조사 종료 후에도 열적으로 중합이 진행되어 경화수축이 적음 등 메리트가 있다. 양이온 중합성 지방족고리에폭시 모노머 등에 의한 광경화형 점접착소재의 기술개발 등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경북대학 고분자공학과 민경은 교수 연구팀은 “광개시제의 종류에 따른 아크릴수지계 점착제의 점착특성”을 폴리머, 38(4), pp.491-495, 2014에 게재하였다.
- 저자
- Nobuhiro ISHIKAW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0(9)
- 잡지명
- 日本接着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95~299
- 분석자
- 이*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