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환경과 관련되는 파라벤의 출현, 소멸 및 거동수수제목
- 전문가 제언
-
○ 파라벤은 파라수산화 벤조산의 에스테르로 에스테르그룹에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과 벤질기 등을 가지는 물질이며, 촉매를 사용해서 파라벤조산(안식향산)과 알코올의 에스테르반응으로 합성된다.
○ 1920년 중반에 의약품 방부제로 처음 사용된 파라벤은 식품과 화장품으로 그 용도를 급속히 확장시켰으며, 특히 22,000개 이상의 화장품에 사용된 파라벤의 함량은 단일 종에서 최대함량이 0.4%이나, 모든 파라벤 종의 합계는 0.8%에 이른다.
○ 폭넓은 항균효과와 함께 pH변동에도 안정하고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비용도 낮은 파라벤이 이상적인 방부제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내분비파괴물질로 알려지고, 2004년에는 여성의 유방암과 소아의 고환암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기형아도 출산할 수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 일반 하수처리장의 생물학적 처리과정에서 이들 파라벤의 90% 이상이 제거되고 있지만, 사용되는 양이 막대하기 때문에 잔류하는 파라벤이 지표수 또는 지하수를 오염시키므로, 식물상과 동물상은 물론 수질환경과 인체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이들 파라벤의 할로겐화물질은 생물학적 처리과정에서 생분해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련자 또는 주민의 관심이 더 높다.
○ 국내에서도 파라벤의 이러한 악영향을 인지하고 가장 사용량이 많은 치약과 화장품에서 파라벤이 없는 제품을 개발해서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치약과 화장품은 의약품과 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식약청에서 규제하지 않고 있지만, 보다 구체적인 역학조사결과가 나오면, 이러한 제품이 아닌 의약품, 식품과 바니시 등 다른 제품에 사용되는 파라벤도 다른 물질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자
- Camille Hama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68()
- 잡지명
- Water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1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