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집중도는 어떻게 기업의 탐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4개의 선진국에서 적극적인 R&D 기업의 증거
- 전문가 제언
-
○ R&D는 혁신의 출발점으로서 R&D투자는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결정하는 중요한 방법이고, 탐구는 과감한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활동이다. 본 논문은 “R&D집중도는 어떻게 기업의 탐구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4개 선진국에서 적극적인 R&D 기업의 증거”를 주제로 하여 R&D 집중도가 기업의 탐구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기업의 탐구성이 R&D집중도에 의해 어떻게, 언제 결정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 4개 선진국(일본, 독일, 영국, 미국)에 있어서 기업년(Firm-year) 관찰의 패널데이터에 토대하여 본 연구의 결과는 더 높은 수준의 R&D집중도가 기업을 더 이용적이 되게 하고 덜 탐구적이 되게 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D집중도와 기업의 탐구성간의 부정적인 관계는 기술적 기회나 재무적 여유의 존재속에서 완화되는 것으로 밝혀진다는 것이 강조된다. 아울러, 본 연구의 증거는 R&D지출이 특정한 조건에서만 더 높은 수준의 기업탐구성을 보증한다고 제시한다.
○ 오늘날 과학기술이 세계의 경제를 변화시키는 핵심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세계 주요국가와 그 기업들은 기술혁신으로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R&D투자확대 및 R&D활성화에 힘을 쓰고 정부는 그에 대한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주요 선진국에서는 R&D집중도가 혁신이 일어날 확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고, 탐구성이 혁신을 위해 변화를 추구하면서 실험을 장려하는 등 창조적 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 OECD의 과학기술산업전망보고서에서 우리나라는 국가 R&D집중도(GDP대비 R&D투자비중)가 4.38%로 세계1위, 기업의 R&D집중도(매출액대비 R&D투자비중)가 3.4%로 OECD 1위로 나타나 가장 역동적이고 혁신적 국가중 하나로 평가되었다. R&D투자활동은 국가의 경제성장과 기업의 성장을 위한 핵심요인이 되어 R&D집중도가 제고되어야 한다. 국내에서는 R&D집중도와 기업의 탐구성간의 관계에 대해 수행된 연구가 없어 이에 대한 심충연구가 필요하고 일본처럼 전통적인 탐구성을 발휘하여 경쟁력을 높이고 공정을 개선하는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 저자
- Cheng-Yu Lee et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34(10)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582~593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