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섬유의 영양 및 생리 기능
- 전문가 제언
-
○ 식이섬유(Dietary fiber)란 소장에서 소화효소로 가수분해되지 않는 성분으로서 식물 세포벽에서 오는 비전분성다당류, 불용성 셀룰로스, 저항전분, 올리고당, 가용성 펙틴, 리그닌 등을 말한다. 그 자체는 비영양소이지만 배변활동 원할, 체중감량에 도움, 지방흡수저하, 체지방분해, 대장암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기능성이 있어 건강에 도움을 주므로 제 6영양소라 부르기도 한다.
○ 식이섬유의 일부는 대장 내 미생물의 발효과정에 기질로 이용되어 대장미생물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며, 발효과정에서 acetic acid, butyric acid, propionic acid 등 단쇄지방산으로 변환·흡수되어 대장 운동의 항진, 변비개선, 항암, 콜레스테롤저하 등 생리기능과 에너지로 이용된다.
○ 소장에서 분해되지 않고 대장에 도달해 섬유소와 같은 방법으로 장내세균에 의해 이용되어 새로운 영양·생리기능을 만들어내는 전분분해물의 전분과 전분질 식품을 저항전분(resistant starch)이라 하고, RS-1, RS-2, RS-3, RS-4로 구분한다. RS1은 물리적으로 효소의 접근이 어려운 전분, RS2는 생전분 B형 입자로 호화될 때까지 효소에 저항성을 갖는 전분, RS3는 호화된 전분이 노화되어 저항성을 갖는 전분, RS4는 효소적,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성처리(가공)된 화학수식 전분을 말한다.
○ 국내에서 저항성전분에 관한 연구는 ‘인산가교에 의한 RS4형 옥수수 저항전분의 제조 및 생리학적 특성’(배천호, 2014), ‘저항전분과 비전분성 다당류를 첨가한 프렌치브레드의 품질 특성’(이현주, 2005), ‘밀전분을 이용한 저항전분 개발과 국수에 첨가 효과’(송지영, 2003), ‘난소화성 전분과 하이드로콜로이드 혼합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식품학적 특성 변화 연구(요화, 2011) 등이 있다.
○ WHO는 식이 1,000㎉당 14g을 기준으로 총 식이섬유 섭취량은 1일 27∼40g을 권장하고 있다. 생활습관병 예방을 위해 더 많은 석이섬유섭취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하루 60g 이상의 고섬유질 식이는 건강에 위험할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사 지도나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식이 가이드가 필요하다.
- 저자
- Ebihara, Kiy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40(3)
- 잡지명
- 醬油の硏究と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45~151
- 분석자
- 최*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