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GZO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

전문가 제언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기기는 눈부신 진화를 이루고 있다. 통신 속도의 비약적인 고속화에 따라 정보량은 증가하고 이들을 보다 정확히 표현되는 초고화질 디스플레이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고정밀화에 대응하는 혁신 기술로서 산화물 반도체를 TFT(Thin Film Transistor)에 이용한 IGZO 액정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IGZO는 In, Ga, Zn의 산화물인 InGaZnO이다. 3원소의 산화물인 InGaZnO는 단일 원소인 실리콘에 비해서 특성의 안전화가 것이 어렵다. 일본 Sharp사는 그간 실용화한 비정질 상태의 IGZO 이외에 공동 연구를 통해서 결정질의 IGZO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자사의 산화물 TFT를 IGZO로 명명하였다.

 

산화물 TFT의 가장 큰 특징은 a-Si TFT에 비해서 전자 이동도가 높고, 누설(leak) 낮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서 고해상도 패널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에서는 배터리 소비의 60% 이상이 디스플레이 구동에 사용된다. 산화물 TFT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경우 누설전류가 적어서 구동전력을 차단해도 TFT의 출력전압이 크게 떨어지지 는다. 또한 프레임 마다 일시적으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휴지구간을 설정함으로서 소비 전력을 a-Si TFT 대비 1/5~1/10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 기술은 국내의 삼성이나 LG에서 화면이 큰 제품부터 적용을 하고 있다. 또한 Apple이 새로운 iPad에 IGZO 패널을 도입하였다. 국내에서도 이 분야는 관심이 많아 대학 및 연구소에서 관련이 많은 60여 건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세계적으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국내기업의 위상은 아직은 우위에 있으나, 계속적인 기술 진화가 필요하다. 현재 OLED 분야에서 상용화에서 앞서 있으나, 자만할 수 없는 실정이다.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특성과 안정성이 있는 새로운 산화물 TFT 관련 기술개발도 시급하고 본다.

저자
Matsuo Taku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52(6)
잡지명
光技術コンタクト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9~43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