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트로파 커카스(Jatropha curcas): 희망에서 절망까지 10년 이야기

전문가 제언

바이오디젤 연료(Bio-diesel fuel)의 원료로 팜 오일(palm oil), 코코넛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트로파 커카스(Jatropha curcas)는 인도 차이나 반도 등 아열대 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특유의 냄새와 맛 때문에 야생동물이 농장에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울타리로 많이 사용되는 먹을 수 없는 비식용 작물이다.

 

팜 오일은 경작 후 3년이 지나야 수확할 수 있지만 자트로파는 6~8개월이면 수확할 수 있다. 열매가 익으면 안에 있는 검은 씨앗에서 나오는 기름이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된다. 자트로파는 단위 경작면적 당 추출 가능한 바이오디젤의 양이 사탕수수나 옥수수에 비해 많고, 자트로파씨 4kg이면, 기름 1리터를 생산할 수 있고, 기름의 정제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은 비누를 만들고 나무줄기는 종이나 합판 원료로 쓰인다.

 

바이오디젤은 동물이나 식물 지방 혹은 재생할 수 있는 오일을 공급 원료로 이용하여 알코올이나 수소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는 석유디젤 대체연료로 사용되는 에너지원이다. 석유에서 얻은 디젤연료와 비교할 때 세탄가, 발열량, 점성, 유동성, 상태변화특성 등의 성질이 유사하며 독특한 윤활성 때문에 기존 디젤유의 첨가제로도 그 응용성이 다양하다.

 

바이오디젤은 특히 식물성오일인 대두유, 야자유, 포도 씨 유와 같은 먹을 수 있는 공급재료를 사용해 왔으므로 원가비중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식물성기름 식품 마켓에서 수요공급의 불균형 때문에 원료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를 보면, 바이오디젤 물성 개량 첨가제의 경우 수입에만 의존하므로, 기술 의존성이 크고, 로열티 부담이 가중되는 실정이다. 바이오디젤 플랜트 핵심소재 및 응용성 관련 업체들은 대부분 소규모이므로 해외 선진국의 대규모업체와 비교하면 취약점이 많다. 따라서 앞으로는 보다 규모가 크고 과학기술을 접목한 바이오디젤생산을 기대해야 할 것이다.

저자
Kripal Singh,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5()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56~360
분석자
정*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