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녹색경제: 지방의 변화와 정책 추진 요인
- 전문가 제언
-
○ 녹색경제는 환경위험과 생태결핍의 감소를 초래하는 환경저하 없이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로 정의하고 있다. 생태경제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나 더 정치적으로 적용된 초점을 가지고 있다. 2011 UN녹색경제보고서(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는 녹색이 되려면, 경제는 효율적일 뿐 아니라 또한 공정해야한다. 공정성은 세계적 공정차원을 인정함을 시사하고 나아가 낮은 탄소, 자원효율성 및 사회적임이 포함된 경제로 이동을 확언하고 있다.
○ 녹색 스티커와 환경마크 실천은 환경에 친근감과 지속가능한 개발의 측정을 직면하는 소비자로서 알려지고 있다. 많은 산업은 세계화하는 경제에 그들의 녹색화 실천을 증진하는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서 이들의 표준을 채택하기 시작하고 있다. 녹색경제와 생태경제와 관계된 분야는 지속가능성, 자연, 평등 및 가치에 초점을 포함한 페미니스트 경제에 그들의 많은 관점을 할당한다.
○ 녹색경제는 경제이론에 의해, 경제는 살아있는 생태시스템 내에서 생태시스템의 부분으로 간주된다고 느슨하게 정의하고 있다. 이 주제에 대한 전체론 적 접근법은 전형적이기 때문에, 경제적 아이디어는 특정 이론가에 따라, 여하한 숫자의 다른 주제들과 혼합한다. 남녀평등주의, 후기모던, 생태운동, 평화운동, 녹색정치, 녹색무정부주위 및 반세계화 운동의 지지자들은 몇몇 동등하게 불분명한 주류 경제에 외부적 모든 것이 아주 다른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유엔환경계획(UNEP)이 작년 8월 20일 발표한 32쪽 분량의 정책보고서가 화제다. ‘한국의 녹색성장 정책 중간보고서(Overview of the Republic of Korea's Green Growth National Vision)’는 한국이 전 세계 국가 중 최초로 녹색성장 비전을 국가발전의 핵심 패러다임으로 선정한 사실을 높이 평가하며, 한국의 경제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녹색뉴딜 정책과 중장기 마스터 플랜인 녹색성장 5개년 계획 등을 소개했다.
- 저자
- H. Yi, Y. Li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31()
- 잡지명
- Global Environmental Chang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19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