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ED조명기술의 현상과 장래

전문가 제언

 

이 문헌은 다양한 업태에 새로운 활황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LED조명에 관련하여 일본이 추진해온 기술개발, 특히 성능과 안전성에 더하여 에너지절약과 열선 자외선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조광 및 점멸의 자유자재와 빠른 응답속도 등, LED독특의 장점을 감안한 LED조명기술의 현상과 장래에 관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LED기술의 진전은 칩 메이커, package메이커, 모듈메이커 , 각각의 전문메이커가 기술개발을 가속화시켰으며 이를 대형전문기업이 최종고객에 대한 브랜드메이커로서 종합적으로 개발한 총 합력이라고 본다.

 

중요기술과제로선 LED조명의 배광문제, 광의 산란, 안전성, 품질 및 업계규격화 촉진 등에 집중적으로 연구를 추진해왔으며 201271일엔 전기용품안전법의 대상품목으로 LED전등기구가 추가되어서 법령으로 정한 기술기준에 적합 시킨 PSE마크를 표시하도록 의무화되었다.

 

앞으로도 특히 LED조명에 필요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LED기구의 발광부분과 함께 전원제어block의 품질에도 중점을 두었고 내진성능, 피래(천둥)성능, 광속유지신뢰성, 내수와 내 풍속성능, 방해 파 대책성능, 잡음신뢰성 및 성능표시 신뢰성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도 LED조명기술에 관하여는 근래 집중적인 기술개발노력으로 LED조명이 확대 보급되어 2013년도의 국내 LED시장규모가 8.3조원에 달한 것으로 추정되고, 2015년엔 국내 LED조명보급이 30%에 달하여 16조언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될 만큼 진전되어서 우리나라의 LED조명기술도 국제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에너지절감에 있어서도 대형원자력발전소 2기에 해당될만한 발전량절감이 예상되고 환경문제에 있어서도 CO2 680만 톤의 저 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계속해서 최적의 열적 광학적설계와 compact, 다기능 단일 칩 IC개발 및 Multi Chip혼합 Package기술 등, LED특성에 맞는 적합한 조명기구개발로 보급 확대에 주력해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K CHISHIR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66(5)
잡지명
省エネルギ―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6~30
분석자
차*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