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람의 RNA-결합 단백질 조사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전사 후 유전자조절(PTGR)이라함은 주로 RNAs와 관련된 사건으로 코드하든 안하든 이들의 이동, 성숙, 안전과 번역에 연관된 과정에서 일어난다. 여기에는 RNA-결합 단백질(RBPs)과 리보핵 단백질이 RNA공정과 전사 후 유전자조절을 조정하고 있다.

 

RNA는 주로 mRNA의 주형(template) 역할, 아니면 tRNAs와 ribosomal RNAs에 의해서 단백질을 생성하는 과정에 구조와 적응기(adaptor)의 역할로만 생각했다. 그러나 RNAs의 촉매역할과 다양한 비-코드 RNA (ncRNA) 종이 알려지면서 RNA는 세포에서 아주 다양한 조절기능을 하는 분자로 이해된다. RNA 모티브 시퀀스 인식을 가이드로 작용하기도 하고 비계(scaffold)로도 작용하며 단백질을 보충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플랫폼의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차세대 시퀀싱과 단백질 질량분석방법의 발달로 PTGR과 여기에 관여하는 단백질 인자를 시스템생물학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람의 경우 20,500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에서 실제로 RNA-결합 혹은 RNA-관련 단백질 가족으로부터 800 개의 단백질 도매인을 추출할 수가 있다. 이들 중 RNA와 관련이 없는 기능, DNA-결합 zinc-finger 단백질이나 domain 검사에서 RBPs가 아닌 것을 제외하고1,542 RBPs 즉, 전체 코딩 단백질의 7.5%나 된다. 이 리뷰에서는 이 1,542 RBPs의 대사와 어떤 조직에서 발현되고, 얼마나 많은지, 그리고 진화적인 보존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세포 안에 가장 흔한 RBPs는 리보솜 단백질과 mRBPs이며 RBPs 단백질을 코드 하는 transcriptome에 관련된 단백질도 많으며 세포의 공정에서는 RNA 대사를 비롯해 PTGR관련된 대사는 높게 보존되고 있다. 생체 내 RNA 2차 구조 프로파일, polyadenylation의 위치와 poly(A) tail 길이에 대한 프로파일을 할 수 있는 3‘-end 시퀀스 방법 등이 PTGR 네트워크 조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비-코드 RNA연구는 국내 여러 연구진이 그 구조와 기능 그리고 병과 관계를 보고하고 있다. 그러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RBP와 PTGR의 catalogue가 필요하다.

저자
Stefanie Gerstberger, Markus Hafner and Thomas Tusch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5()
잡지명
Nature Reviews Gene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29~845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