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생물의학 분야를 위한 획기적 기회
- 전문가 제언
-
○ 지난 수십 년 동안 생물의학 분야에서는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을 동시에 갖는 새로운 합성 고분자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여 왔고 최근 α-아미노산 함유 폴리(에스테르아미드)(PEAs)들이 이들 특성에 적합한 중요한 재료로 떠오르고 있다.
○ 특히 PEAs 중 아미노산의 존재는 양호한 세포-고분자 상호작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펜던트 반응기의 도입이 가능하고 고분자의 전반적인 생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리뷰는 α-아미노산 기초 폴리(에스테르아미드)의 개발에 관해 제조에 사용된 주요 합성 경로 및 그들의 주요 생물의학에의 응용을 중심으로 광범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 있다.
○ PEAs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의 특성을 갖는 에스테르결합과 아미드결합을 갖는 고분자로 에스테르와 아미드 결합의 조합을 통해 생물의학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열역학 및 분해특성)을 갖는 새로운 물질을 설계하기 위한 길을 열 수 있을 것이며 이 리뷰에서는 α-아미노산, α-지방산 이염기산과 디올 및 폴리뎁시펩티드(PDPs)에 기초한 PEAs에 초점을 두어 합성 방법 및 경로에 관해 종합하고 있다.
○ 약물전달시스템(DDS)과 유전자전달시스템(GDS) 및 조직공학 등 다양한 생물의학 영역에서 PEAs의 용도를 탐구하는 많은 연구 결과, 흥미로운 장래성을 보이고 있지만 생물의학 분야에서 보다 확고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많은 임상수준의 실험들을 필요하며 그 응용 영역을 넓히기 위해서는 기능화를 위해 다양한 펜던트 반응기를 갖는 PEAs개발을 위한 탐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 최근 제약 시장에서 바이오 의약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DDS 연구가 활발하다.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을 비롯한 생물의학 산업의 기반이 취약한 국내의 경우 PEAs를 비롯한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활용한 DDS, GDS 및 조직공학에 관한 기술 개발을 통해 생물의학 산업에 효과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생물의학 분야야 말로 생명과학, 재료과학 및 엔지니어링이 결합하는 학제적 분야이므로 보다 통합적인 시스템 구축에 의한 접근이 요망된다.
- 저자
- Ana C. Fonseca, Maria H. Gil, Pedro N. Simoe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39()
- 잡지명
- Progres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91~1311
- 분석자
- 김*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