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그레핀 제조방법의 발전; 화학적 방법
- 전문가 제언
-
○ 그레핀은 본문에서도 언급된 것 같이 2차원의 나노 판상의 흑연으로 고유의 탁월한 전기적, 기계적, 열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그 용도가 다양하다. 즉, 그레핀이 한 원자층으로 구성된 판상의 구조이기 때문에 전하의 이동(200,000 cm2 V-1 s-1)이 매우 용이하며, 열전도도(5,000~8,000 W m-1 K-1)가 높고, 하나의 원자층이기 때문에 결함이 없어서 탄성계수(1,100 GPa)와 파단강도(125 GPa)가 매우 높다.
○ 이렇게 특이한 구조와 물리적 특성 때문에 에너지 생산, 디스플레이, 나노전자, 광전자, 센서, 안테나, 광학, 스핀트로닉스, 플라즈몬공학 및 광-전자소자 등의 폭 넓은 용도를 갖는다. 이렇게 특이하고 우수한 특성을 갖기는 하나 종래의 제조방법은 그레핀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실용성에 제한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 면적 그레핀 생산을 위한 연구가 지난 2010년 경 부터 활성화 되고 있다.
○ 기계적인 박리방법, 화학적 환원방법, 에피텍시 성장방법과 CVD방법 등 여러 가지 제조방법이 있는바 이 분석에서는 1차적으로 화학적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에피텍시 성장방법과 CVD방법에 관하여는 다음번 분석에서 소개할 예정이다.
○ 이 분석의 주제인 화학적 방법은 비교적 용이하게 저렴한 공정으로 대 면적의 그레핀을 생산 할 수 있으나 제조된 그레핀의 품질이 불량하여 고도의 정밀도를 요하는 장치의 부품으로는 사용에 제한이 있다.
○ 지난 2004년 영국에서 최초로 스카치테이프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그레핀 박리에 성공 한 이래 여러 가지 그레핀 제조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 면적의 그레핀 제조방법에 관한 연구가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미국에서 시작된 이 분야 연구가 최근 2~3년 사이에 중국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를 행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대면적 그레핀 제조를 위한 연구가 2012년 이후 서강대학교와 UNIST에서 추진되고 있다. POSTECH, KIST, 원자력연구원, 한밭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전북대학교 및 삼성종합기술원 등 여러 대학 및 연구소에서는 화학적 방법으로 그레핀을 제조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저자
- YUAN LI and NITIN CHOPRAYUAN LI and NITIN CHOP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67(1)
- 잡지명
- JOM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4~43
- 분석자
- 남*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