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과 다른 민족간의 천식유전학의 차이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천식은 다중 유전학적이며 환경적인 영향 사이의 복합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생각된다. 천식환자의 가족이나 쌍둥이 연구는 천식이 유전성 인자와 일치하는 패턴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록 이들 유전적 성분이 단일 유전성 장애에서 보이는 단순한 멘델법칙의 패턴을 따르지는 않지만 유전적으로 보이는 천식표현형이 분명히 있으며 이는 유전적 체질의 가능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 현재 인간과 동물의 데이터에서는 천식증상이 다수의 유전자에 의해 중재되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 더욱이 각 개인마다 다른 유전자들이 같은 표현형(유전자좌 이형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같은 개인에서 작용하는 다수의 유전자들이 천식 표현형으로 발현될 수도 있다.
○ 일부 유전자들은 천식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반면 다른 유전자들은 천식 중증도나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조정한다. 지금까지 천식 유전학에 대한 설명은 천식에 대해 근본적인 진단테스트가 없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어왔으며 현재도 임상진단에 적합하게 응용되지 않고 있다.
○ 1년 미만의 유아가 항생제를 복용한 경우 성장한 후에 천식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항생제가 유아의 유익한 소화관 세균에 간섭하여 면역계가 개발되지 못함으로서 천식에 더욱 민감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마치 환경적 요인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그 원인이 항생제 자체라기 보다 어릴 때의 바이러스면역의 손상과 어떤 유전적 변이 때문이라고 보고되었다.
○ 경제발전과 환경오염 증가로 우리나라도 어린이 천식환자의 수가 매년 증가일로에 있다. 이미 구미에서는 GABRIEL 콘소시엄이나 EVE 콘소시엄 등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민족 특정 천식 관련 유전자들의 동정을 위한 연구계획을 수립하여 특히 영유아의 천식 발병 전후의 유전자 변이에 대한 추적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만 명확한 천식 관련 특정 유전자들의 동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Ting F. Leung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133(1)
- 잡지명
-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2~48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