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지능을 능가할수 있을 까? 범용인공지능개관
- 전문가 제언
-
○ 이 보고서는 범용인공지능분야의 세계적인 리더인 B. Goertzel에 의한 간략하면서도 포괄적인 범용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의 리뷰이다. 범용인공지능의 중심가설, 특징의 부여, 여러 관점 및 분야의 범위 등에 관한 움직임을 소개하면서 범용인공지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Google DeepMind” 와 "Nvidia Drive PV" 등의 심층학습기능을 탑재한 자동운전기술에서 보듯이 인공지능분야에서 Quantum-Jump적인 혁신이 실현되고 있다. 이들은 스스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새로운 과제를 해결해나가고 있다.
○ R. Kurzweil은 정보과학의 진보는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고, 뇌과학은 정보과학의 일종으로, 이미 대뇌신피질의 구조는 밝혀져 있어 인공지능이 충분한 범용성을 획득하여, 보다 고도의 지능을 갖는 인공적인 기계를 스스로 창조할 수 있게 되는 기술적 특이점(Sigularity)의 도래가 멀지 않다고 예언하고 있다.
○ AGI의 실현에는 인지 architecture, Robotics, 패턴인식, 심층?강화 학습 등의 여러 학습이론, 인지?계산 언어학, 인지심리학, 뇌 과학 등의 지식과 경험을 종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들 분야의 연구자들이 함께 연구하면서 개개의 연구자도 서로의 영역에 대한 기본인식을 갖추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한국에서의 이 분야 연구팀으로는 KAIST의 이주창 교수팀, 고려대학교의 임해창 교수팀 등이 있다.
○ 완전자동운전 자동차의 보급에는 극복해야 할 많은 과제가 남아 있고 현대/기이차도 이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는 것을 개발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Google은 벤처기업 “DeepMind"를, Audi는 ”Nvidia"와 자동운전자동차를 공동 개발했다. 한국을 포함한 이들 벤처기업의 적극적인 발굴사업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 저자
- B. Goertzel & Novamente LL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29(3)
- 잡지명
- 人工知能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28~233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