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회로 형성용 표면처리 기술
- 전문가 제언
-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신호전송 고속화와 함께 전자기기의 고밀도화를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스마트폰이나 반도체, 신호전송을 위한 정보통신용 기기에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이다. 해가 갈수록 경박 단소화 추세로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핀 간 2.5mm사이에서 나노미터 규모의 10라인 이상의 파인패턴 회로형성과 함께 전기도금에 의한 균일도금, 에칭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손실을 낮추거나 유전율?유전손실이 낮은 절연수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 회로로서는 표면저항이 낮은 균일하고 평탄한 동 회로를 사용하여야 한다. 동과 수지의 접착성의 향상도 필요하다. 접착성 향상을 위해서는 구리에 요철을 형성시키고 화학적인 결합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화학적인 결합력 증가의 연구결과는 아직 상용화되지 않고 있다.
○ 2008년 일본의 Tomoaki YAMASHITA는 반도체 시스템 패키지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고밀도 반도체 실장용 기판에 회로의 폭/간격의 비율이 10㎛/10㎛인 구리도금 기술을 발표하였다. 이 표면처리 기술은 제한된 공간에 다수의 반도체 칩을 탑재하기 위한 회로의 접착성 향상을 위한 전기도금 기술로 알려졌다. 탈지, 산세정의 전처리와 후처리로서 방청처리와 건조, 접착처리는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였다. 18㎛ 전해처리 한 동박을 사용하였으며, 동 접착면의 박리강도를 평가하는 절연수지는 시아네이트 에스테르-에폭시 혼합수지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 및 벤조시클로 부텐 수지를 사용하였다.
○ 2001년 인천 남동공단의 ㈜하이텍에서는 동 표면을 산화처리 하여 동과 에폭시 수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기존의 침상의 흑색산화동(CuO, Black Oxide)이 생성밀도가 매우 낮아 불균일한 동 표면을 나타낸 접착력 감소를 보완 개선한 기술로 알려졌다. 0.2㎛ 이하의 균일한 미세요철을 형성한 갈색산화동(Cu2O, Brown Oxide)처리는 스크럿치 방지와 함께 드라이필름 밀착성도 뛰어난 산화처리기술로 알려졌다.
- 저자
- Kazutaka TAJI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5(8)
- 잡지명
- 表面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57~362
- 분석자
- 김*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