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히트펌프와 공기조화시스템에서의 상변화물질 이용
- 전문가 제언
-
○ 대기, 물, 지열과 같은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여 투입한 전력보다 많은 양의 냉/열 공급이 가능한 히트펌프는 CO2 배출 감축 효과가 큰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히트펌프, 급탕과 같은 열 시스템에 있어서 열 공급/수요 시간대의 불균형 해소가 가능한 열에너지 저장(TES) 시스템이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 TES 시스템은 열에너지 공급/수요의 불균형 완화로 설비의 추가 구입 억제와 설비용량 축소가 가능하다. 특히 열저장 물질로 상변화물질(PCM)을 사용하는 잠열 축열 시스템은 동일한 시간 내에 작은 온도 차에서 현열저장(sensible storage)에 비해 다량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 TES 시스템 내의 PCM은 난방용으로 22.5~58℃의 상변화온도를 갖는 CaCl2·6H2O와 파라핀(paraffin)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얼음, 코코넛 오일은 냉방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열 회수용으로는 용해점이 45~48℃인 파라핀 왁스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 히트펌프는 일부 선진국 특히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공기조화기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는 1980년대 중반부터 산학연의 활발한 연구개발에도 불구하고 혹한기의 난방능력/COP 저하와 전력사용의 부정적 인식 등으로 보급이 지연되고 있다. 히트펌프는 기존 보일러, 태양열/지열 시스템과 결합하면 이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 TES 시스템 활용으로 첨두전력 문제, 태양에너지의 비연속성 문제를 줄일 수 있다.
○ 국내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실시 등 CO2 배출 감축을 위해 공기조화, 급탕 분야에서의 고효율 에너지 시스템의 보급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혹한기에 실외기의 열원으로 지열 열교환기, 태양열 집열기, TES 시스템을 이용하는 저비용·고효율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의 개발과 보급이 바람직하다.
- 저자
- Pere Moreno e t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39()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13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