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의 염 스트레스 반응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이 논문은 특정세포형태에서 ABA의 작용으로부터 환경적응 과정에서 중요한 조절 사건(events)을 예고하는 단백질들의 전체적 네트워크까지에 걸쳐 서로 다른 공간과 기관규모에서의 염 스트레스반응에 대한 연구를 집중조명하고 있다.

 

식물이나 작물의 환경스트레스 특히 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도 간척지의 개발등 환경변화에 따라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상당한 연구결과를 축적하고 있다.그러나 최근에 세계적인 연구추세는 분자적인 방법을 통해 관여하는 홀몬의 작용경로 및 기작을 알아내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따라서 국내에서도 앞으로는 분자수준의 기술 및 대용량 기술(high throughput)을 이용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현대사회는 식량 및 재생가능한 자원인 작물을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능력으로 많은 부분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였다. 환경변이의 증가가 농업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측되므로 우리사회에 광범위한 2차 효과를 가져올지도 모른다.따라서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작물의 전략을 이해하기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높은 염농도는 농업에 있어서 중요한 환경 스트레스이며 작물의 생리작용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다.특히 비생물적 스트레스와 연관된 홀몬인 ABA는 이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5년동안에 분자수준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형광세포분석,번역체(translatome)전사프로파일링 그리고 FRET센서같은 조직특이적 방법으로 초기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는 공간규모(spatial scale)에서 스트레스반응을 연구할 수 있게되었다.

 

단백질과 단백질의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밝히기 위한 대용량(high-throughput)방법이 전사연구와 분자기작 동정 그리고 궁극적으로 불리한 환경조건하에서 생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이해하기위한 필요한 방법으로 보인다.

저자
Jose R Dinnen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3()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0~75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