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자파 차단용(EMI shielding) 전기전도성 접착제

전문가 제언

근년 가전제품이나 전자기기의 보급이 왕성해짐에 따라 전자파 간섭 영향에 따른 전자기기의 오작동 등에 의한 병원기기 및 항공기의 오작동 등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또한 인체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인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서 전자파 차단재료의 개발이 시급하다.

한편, 자동차나 전자기기 등의 조립공정에서는 부품의 접합기술도 볼트, 리벳, 용접과 같은 종래의 물리적 접합기술을 대체하여 열융착, 접착제, 점착제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접합으로 전환해가는 단계에 있다. 이러한 접합기술은 적용제품의 복잡화, 경량화 및 작업의 편이성이나 외형의 감성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 발명은 전기전도성 전자파차단 열가소성 고분자 기재에 집적회로기판과 같이 전자부품을 직접 조립하기 위한 전기전도성 접착제를 미리 적용하는 시스템 및 전자파 영향으로부터 전자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특허청구권을 보면 공지의 화합물을 배합하는 기술로서 특허기술의 침해문제는 크게 문제가 될 소지는 적지만 국내 접착제 업계가 기능성 접착제가 취약한 것이 큰 걸림돌이다.

국내의 경우, 삼화페인트 등이 유기물을 이용한 전자파차폐 도료를 상용화 하였으며, 연구소나 대학에서도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새로운 소재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효과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국내 접착제 시장을 보면 Henkel, BASF, 한국쓰리엠 등 다국적 기업들이 자동차, 전자 분야의 특화된 고기능성 접착제의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공, 대흥화학 등 국내 기업들은 목공, 건축 분야의 전통적 범용제품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접착기술의 개발은 우리나라의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 기반기술로서의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각종 조립공정의 간편화, 경량화 및 환경규제강화 등의 추세에 따라 차세대 반도체 공정테이프, 공정 단순화 및 경량화를 위한 구조용 접착, 신재생에너지 모듈용 접착 등 선도적인 산업의 기술공정에 적합한 기능성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저자
Parker-Hannifin Corporation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WO20140175973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