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정 디스플레이 산업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현재, 액정 디스플레이는 끊임없는 연구개발의 적층 없이도 설비투자의 자금이 있으면, 생산설비의 도입과 입수 가능한 Know How에 의하여 용이하게 어디서나 누구라도 제조가능한 장치산업화가 진행되었다. 4k×2k, 8k×4k라고 불리는 고화질의 액정 디스플레이 실현은, 액정재료, 표시방식, 화소를 구동하는 TFT재료 등으로 인하여 기술개발의 덕택인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도 확산되어 산업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조는 풍부한 자금과 제조에 어울리는 낮은 자금과 노동력의 확보가 가능한 것에 따라서 성립되는 것이다.
○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도 대형화, 고정밀도화 3D 표시나 다원색화 등, 디스플레이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제품으로서 경쟁력을 갖추려고 광범위하게 연구했다. 또한, 동시에 화소를 구동하는 TFT의 고속화를 필요로 하지만, a-Si:H에 대응하는 고이동도 TFT재료의 개발이 지체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표시의 구동방식을 연구하는 것으로 대응이 도모되었다. 작년, 실용화된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는 새로운 재료 채용에 의하여 이 해결을 도모한 최초의 예로 되었다.
○ 액티브 매트릭스에 있어서 TFT는, 개개의 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소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TFT에서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전계에 의하여 수송되어 외부회로에 전류가 흐른다. 화소의 교환에 필요한 TFT의 동작시간은 소스, 드레인 전극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용하는 반도체 재료의 이동도가 클수록 그 시간은 단축된다. 따라서 화소 수나 프레임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이동도가 높은 반도체 재료를 필요로 한다. 종래, 널리 이용되어 온 수소화 아모르퍼스 실리콘(a-Si:H)의 이동도는 0.5 cm2/Vs 정도이다.
○ 이와 같은 저분자계가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는 최근의 printed Electronics로 향한 유기트랜지스터 재료의 연구개발에 집중되고 있다. 이것은 합성이나 정제의 어려움에 있어서, 높은 결정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계속 인식하면서 제막성이 좋고, 내열성을 기대할 수 있는 고분자계통의 유기재료에 관심이 이동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우리나라 산학연의 분발을 기대한다.
- 저자
- Junichi HANNA, Masahumi KUNI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2(6)
- 잡지명
- 光技術コンタク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26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