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세롤 정제기술의 진보, 전망 및 도전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은 환경친화형 연료로서 석유디젤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수송용 연료로서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디젤의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생산량 대비 약 10% 정도로 생성되는 부산물 글리세롤의 처리가 큰 과제로서, 조 글리세롤의 정제에 의한 고부가가치화는 바이오디젤의 제조원가의 저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물론, 폐자원의 유효 자원화에도 기여할 수 있어 바이오디젤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 진공증류가 비록 고 비용 고 에너지 공정이지만 당분간은 조 글리세롤 정제의 주도적인 공정으로 남을 것으로 보이며, 바이오디젤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저비용 글리세롤 정제 공정의 출현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이 저비용 글리세롤 정제공정이 바이오디젤 플랜트의 한 부분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저 에너지를 사용하는 환경 친화적인 막 분리기술의 조 글리세롤의 정제에의 본격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분리막 가격의 저하도 초기 투자비용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연속적인 사용에 따른 오염에 의한 분리 효율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율적인 세척 방법의 확립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이의 해소 방안의 하나로 떠오르는 막 증류의 경우에는 흐름양의 향상이 미 해결과제로 남아 있다.
○ 이온교환에 의한 조 글리세롤 정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Dow의 AMBERSEP BD50가 있고, 막분리에 의한 조 글리세롤 정제 관련해서는 EET Corp.사가 공정 특허를 출원했으며, 이 밖에도 nano-cavitation 기술 및 acdification 기술이 몇몇 대학에서 연구개발 중에 있다.
○ 국내에서는 10년 전에 바이오디젤이 생산되기 시작하여 한때는 10개 넘는 제조회사가 있었고, 원가를 낮추기 위해 폐식용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등 산학연에 걸쳐 활발한 연구개발 활동이 있었지만, 높은 제조원가의 벽을 넘지 못해 현재는 정부 육성정책에 의해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으로 관련 연구 개발 활동은 주춤한 상태이다.
- 저자
- M.S. Ardi, M.K. Aroua, N. Awanis Hashi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42()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64~1173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