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차단성 필름의 기체 투과 메커니즘과 차단성 부여기술 및 평가기술

전문가 제언

최근 식품포장 분야는 물론 전자기기 제품 등의 포장재에 대한 요구특성이 까다로워짐에 따라 산소, 탄산가스, 향기 등 각종의 기체가 투과되지 못하도록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차단성이 매우 우수한 필름의 개발이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다. 포장산업은 식품분야를 필두로 전기전자, 화장품 및 제약 산업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포장재의 기체 차단성은 식품포장분야에서는 식품이 장기간에 걸쳐 유통, 보관되기 때문에 산소와 같은 기체나 수분의 투과에 의한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고차단성 필름의 역할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 글은 식품포장용 플라스틱 필름의 기체 투과 메커니즘과 차단성 평가방법 및 기체 차단성 필름의 개발동향에 관한 해설이다. 기체의 투과도 측정법은 필름을 사이에 둔 양쪽 각각 공간의 절대압 차이에 따라서 차압법(압력법)이나 등압법(동압법)이 이용되고 있다. 포장용 필름의 개발동향으로는 수동적 차단성 필름과 능동적 차단성 필름에 대해 최근의 개발성과까지 소개하고 있으므로 관련 업계에 참고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의 국내 포장산업계의 개발실적을 보면, (주)보스팩이 수분흡착 필름을 개발하여 미국 FDA가 승인한 GRAS 인증획득, 대웅제약은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케어트로핀 펜 주사기’의 개발 등 다양한 포장재의 개발에 성공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4년 2월 21일의 보도자료를 통해서 ‘KOREA PACK'(국제포장기자재전)의 ’14년 글로벌 TOP 전시회 선정(2014년 2월) 및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패키징기술센터의 도미니카공화국 수출투자청과의 MOU 체결(2014년 2월 18일)을 계기로 포장산업이 무역 1조 달러 돌파의 숨은 공신이라고 밝힌 바가 있다.

국내 포장산업 규모는 2009년 28.8조원에서 2011년 33.4조원, 2014년 38.3조원(산업통상자원부 추정치)으로 약 6%의 성장률을 보여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으로 포장분야가 하나의 산업분야로 위치하고 있다. 향후 국내의 포장산업계의 발전을 위해서는 고차단성 포장재의 개발과 동시에, 특히 선진국에 비해 열세인 포장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지원과 함께 산학연의 협력체제 구축이 필연적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T. Kats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3(1)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2~27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