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과 플라스틱의 접착기술과 용접재료의 최신동향
- 전문가 제언
-
○ 플라스틱과 금속재료의 이종재료 접합 시에 필요한 접착제와, 금속재료의 아크용접에 사용되는 용접재료는 다 같이 접합공정에서 중간재료로 공급되어 접합부의 강도를 높이는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접착제와 용접재료는 접합부의 성능향상을 위해 합목적적인 고기능의 다양한 재료들이 개발되어 많은 산업분야에서 구조체의 고강도화와 경량화가 달성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접착제에 의한 접착방법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GFRP, CFRP와 같은 복합재료와, 금속재료와의 복합화 수단으로 이용되어 자동차, 항공기, 철도차량, 기계구조물 및 전자기기 등 다양한 구조물의 경량화나 콤팩트화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 이 해설은 지난 2013년부터 1년간에 걸쳐 일본에서의 금속과 플라스틱의 이종재료 접착 시의 접착제와 일반 아크 용접재료의 발전 동향을 일본용접학회에서 분석한 내용이다. 최근에 개발된 접착제와 접착방법을 소개하고 용접재료에 대해서는 일본의 용접재료 생산과 수출입 동향과 프로세스별, 산업분야별로 용접재료의 기술동향을 제시한 내용으로 우리나라 접착기술발전과 용접재료 개발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 일본에서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은 금속표면이나 플라스틱 표면의 적정한 표면처리로 모재 강도에 필적하는 접착강도가 얻어지고 있으며, 접착과 점용접을 복합한 웰드 본드(weld-bond)법이 개발되어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과 플라스틱 이종재료를 직접 접합하는 브레이징이나 용접기술도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용접재료는 최근 고능률 용접법으로 대입열 내로우갭 용접재료, 980MPa급 초고장력강용 용접재료 저스패터와 내기공성 용접재료 개발이 두드러진 현상이다.
○ 국내에서는 최근 웰드본드 용접법 연구가 발표되고 있으나, 접착기술에 관한 관심은 저조한 편이다. 한편 용접재료 생산기술은 질적인 면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어 해외시장 진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용접재료에 대한 퓸, 스패터링 대책, 비드형상개선, 용접결함 대책, 용착능률향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국산 용접재료의 품질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 저자
- WAKABAYASHI Kazutami, OZUMI Shing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83(5)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74~378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