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여러 가지 원소에서 측정을 위한 방사광 뫼스바우어흡수분광법과 그 진전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뫼스바우어분광법은 방사성동위체에서 방출되는 특정의 에너지를 갖는 선을 재료에 조사하여, 선을 공명흡수하는 원소주변의 물질상태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선원이 되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입수가 쉬운 철(Fe)이나 주석(Sn)을 함유한 재료연구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적당한 방사성동위원소를 준비할 수 없을 때에는, 측정이 곤란하던지 불가능하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에너지의 선을 이용할 수 있는 방사광 뫼스바우어분광법이 있다. 특히 방사광 뫼스바우어흡수분광법은, 게르마늄(Ge)과 유로퓸(Eu) 등의 다양한 원소를 이용한 측정에 이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 측정시스템에서는, 스펙트럼측정을 위한 핵공명흡수 후에 발생하는 X선과 전자 중, X선만을 검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측정에 수일이 걸리고, 초전도재료와 자석재료의 개발에 관한 원소도 포함하여 응용실험이 곤란한 원소가 남아 있었다. 그래서 X선에 추가하여 전자도 검출할 수 있는 계측시스템을 개발하여, 방사광 뫼스바우어흡수분광법이 측정효율을 대폭으로 향상시켰다.

 

전자를 검출함으로써 방사광 뫼스바우어흡수분광법의 측정효율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가 있었다. 개발된 측정시스템은 Yb 뿐만이 아니라, 신호 강도부족으로 기능재료의 연구에 중요한 원소 이면서 방사광 뫼스바우어분광을 적용할 수 없었던 희토류나 악티니드원소 등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것은 물질과학에서의 방사광 뫼스바우어분광의 새로운 응용분야를 비약적으로 넓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국민대학교 물리학과 와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등에서 물질의 초미세자기장 연구, 나노입자의 뫼스바우어 분광연구와 물질의 결정구조 및 뫼스바우어 분광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저자
Masuda, R., Seto, 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2014(726)
잡지명
Isotope N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6
분석자
문*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