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료과학에 필요한 금속산화물 입자의 연구개발 동향

전문가 제언

최근 재료과학 분야에 거시적 나노재료를 성형할 수 있는 기법과 전환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재료의 전환기술은 또 다른 하나의 새로운 나노재료 기술개발 영역이며, 전기와 재료, 화학분야의 융합기술에 필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나노 입자 크기는 작지만 거시적인 클러스터를 형성함으로써 재료의 다양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2013년 핀란드의 Jenni Andersin는 금속산화물 표면에 전기화학적으로 금(Au) 나노입자를 석출시켰다. 전기화학적으로 변형된 Ca산화물과 Au의 강한 결합을 조사함으로써 산화 환원에 따라 산화물과 금의 흡수강도가 변할 수 있음을 밝혔다. 2013년 스위스의 Z?rich 공과대학의 Alessandro Lauria 박사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알루미나 소형 판에 초상자성 철산화물 나노 입자를 합성한 거시적인 복합체를 생산하였다.

 

2012년부터 국내 나노재료 연구조합에서는 국가 나노재료 기술영역의 분류와 함께 중소기업에 필요한 기술동향과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2개 이상의 융합기술이 요구되는 현실에 촉매-지지체 상호작용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산화물을 이용한 촉매산업은 기존 고가의 백금을 대체할 수 있어 연료, 플라스틱, 비료, 기타 유사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다.

 

재료과학의 발전은 광범위하게 첨단소재와 연관되어 있다. 플라스틱이나 고분자 수지내부에 강자성 강화입자의 위치와 치수방위를 제어할 수 있는 나노재료 물성제어기술력 향상이 필요한 현실이다. 이에 나노 재료 물성을 융합할 수 있는 기술의 정보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나노에서부터 마이크로 크기까지 범위를 넓혀 최소화와 소형화 구조를 거시적 목표를 향한 나노 연구는 계속될 것이다.

 

나노재료 물성융합기술의 연구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합성기술 정보제공이 필수적이다. 향후 산학협력을 통한 나노 융합기술개발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지원이 주어진다면 부분적인 자기적 물성변화와 전기화학적 표면특성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Dorota Koziej,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26()
잡지명
Advanced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35~257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