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입자의 기계적 특성: 기초 및 응용
- 전문가 제언
-
○ 적어도 한 변의 크기가 100 nm 이하인 미세 입자로 정의되는 나노입자는 그의 독특한 크기-의존성 특성에 따른 다양한 응용의 가능성 때문에 전 세계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특별히 특정 대학이나 연구소를 지칭할 필요도 없이 거의 모든 이공계 연구 현장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한 예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실리카 나노분말의 표면 개질을 연구하고 있다.
○ 나노입자 응용의 바탕은 입자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이다. 특히 경도와 탄성 등 기계적 특성에 대한 데이터는 나노구조 설계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들 데이터 중 상당수는 그동안의 노력으로 이미 알려져서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응용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데이터는 연구팀 자체에서 생산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 초기에 국내의 나노입자의 연구개발은 금속과 고분자 재료를 대상으로 하는 산업적 응용이 중심을 이루었으나, 지금은 의료와 환경 등 다양한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한 예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나노 크기 측정기술 개발과 함께 대기 중의 나노입자 측정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한림대학교 나노바이오재생의학 연구소는 고분자 PCL과 산화 티타늄 나노입자의 3차원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 요즘 반도체 산업에서 필수로 꼽히는 화학기계연마(CMP) 기술에 대해서도 국내 많은 대학과 연구소에서 연구개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 예로 부산대학고 CMP 연구소는 CMP 관련 요소기술을 축적하여 궁극적으로 CMP 공정의 지능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 이제까지 구축된 나노입자 관련 연구 및 응용의 기반은 이미 상당한 수준에 올라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계적 시스템의 표면 및 경계면 특성에 대한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요구 조건은 새로운 설계기술과, 표면조절 및 제조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장기적 관점에서 이 분야의 수요는 한계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국내에 구축되어 있는 높은 수준의 나노입자 관련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미래의 수요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Dan Gu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47()
- 잡지명
- Journal of Physics D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013001~013025
- 분석자
- 은*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