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흐름과 기업성과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오늘날 산업의 핵심이 물질에서 지식으로 바뀌고 있고, 이에 따라 새로운 지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지식흐름과 기업성과”를 주제로 하여 지식흐름이 어떻게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모형의 검증과 확장을 제시하고, 지식흐름을 지리적 클러스터, 제휴, R&D지출과 인력성장으로부터 생기는 지식으로서 개념화하는 변수로 고려한다.
○ Peter Drucker는 지식이 새로운 생산수단으로 부를 창조하는 원동력으로 보고 지식경영을 통한 생산성향상과 혁신을 강조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식흐름이 주로 기업성과에 비선형적 영향을 미친다는 예상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성과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관리자는 R&D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아울러, 기업이 파트너로부터 지식흐름을 확보하는 데에 집중하고 많은 제휴를 추구하는 전략을 추진하게 되면 더 나은 재무성과를 획득할 수 있음이 시사되고 있다.
○ 지식기반경제하에서 지식이 중요한 경제자원이고 경쟁력향상의 핵심으로 인식됨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지식의 창출 및 흐름과 인적자원의 개발이 촉진되고 있다. 지식기반관점에 의하면 지식은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기업의 무형자원이고, 기업이 어떻게 지식을 창출, 이전, 활용하느냐가 기업성과와 산업내에서 경쟁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DeCarolis 등(1999)의 연구에서는 지식흐름변수 중에서 지리적 위치가 기업성과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인다.
○ 미국의 경우 지식흐름의 촉진과 창조적 지식의 적용이 산업경쟁력 재생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의 기업, 특히 벤처지원정책은 자본의 흐름 중심의 논의에 치우쳐 지식의 흐름에 많은 신경을 쓰지 못한 듯하다. 그러므로 향후에 자본흐름중심에서 탈피하여 지식흐름이 강화되어 기업성과가 향상되는 기업경영이 이루어지고, 첨단과학기술발전이 국가경쟁력 제고로 직결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식흐름과 기업성과에 대한 국내심층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Zeynep Erde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67()
- 잡지명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777~2785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