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R&D)의 결정요인: 연구와 개발에 대한 차별화된 영향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 R&D)은 혁신을 추구하는 과정이다. “연구개발의 결정요인 : 연구와 개발에 대한 차별화된 영향”을 주제로 하는 본 논문은 연구와 개발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문헌에서 발견된 상이한 R&D결정요인의 차별화된 역할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고, R&D투자를 촉진하는 정책조치들을 강조한다.
○ 문헌에서는 기업규모와 시장집중도가 R&D활동에 미치는 적극적인 영향에 대한 종전의 두 가지 Schumpeter 가설이 R&D투자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수요견인, 기술적 기회와 전유성(Appropriability)과 같은 산업결정요인에 의해 수행된 역할로 보완되어 기업규모, 시장집중도 외에 수요견인, 기술적 기회와 전유성이 R&D결정요인으로서 연구와 개발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된다.
○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업규모가 연구와 개발을 수행할 가능성과 긍정적이나 감소하는 연관을 보이고 그 투자의 결정에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둘째 시장집중도의 영향은 연구와 개발에서 아주 낮은 것으로 밝혀지고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과 작은 연관을 보이나 개발을 수행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셋째 수요견인과 전유성은 연구보다 개발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고, 넷째 기술적 기회는 개발보다 연구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요 결과로 한다.
○ R&D는 국가혁신역량을 통해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루고 기업경쟁력의 원천으로서 기업성과를 제고하는 것으로 인식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경쟁적으로 R&D활동을 강화하고, R&D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R&D결정요인으로서 Schumpeter 가설의 기업규모와 시장집중도가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 그간 한국에서는 R&D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R&D결정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더 규명할 과제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앞으로 연구를 위한 기술적 기회와 개발을 위한 수요견인과 전유성을 조장, 강화하는 정부와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 저자
- Andres Barge-Gil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43()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634~1648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