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담석증 예방을 위한 갯무의 식물 화학물질 효능
- 전문가 제언
-
○ 콜레스테롤 담석증은 비만과 고지방 음식에 의하여 생기며, 서양에서 발병률은 14∼16%를 차지한다. 콜레스테롤 담석증이 발병하는 위험요인은 여성, 비만, 앉는 생활습성, 고지방 음식, 고령, 고콜레스테롤 등이다. 담석증의 병태생리학은 복잡하고 다유전자성이다.
○ 멕시코 전통의학에서 갯무 일종(Raphanus sativus L. var. niger)은 옛날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담즙 기능을 촉진하고 지방의 많은 섭취에 의하여 생기는 일부 소화문제를 치료하였다. 갯무즙은 담석증 치료에 사용하였으며, 갯무는 혈청 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 특성을 가졌고, 질병 치료와 예방에 이용될 수 있는 중요한 효과를 보였다.
○ 갯무의 2차대사물질은 주로 glucosinolate이며, 그 중에서 glucorapha- satin은 65% 이상을 차지한다. Glucoraphasatin과 분해산물인 raphasatin은 담석 형성과 병태생리학적 불균형 상태를 초래하여 담석을 형성하는 활성산소종을 예방하는 천연약제로 사용되고 있다.
○ Glucoraphanin은 glucosinolate의 분해산물인 sulforaphane은 간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추게 하는 효과가 있어 콜레스테롤 형성에 필요한 불균형 상태의 하나는 담낭에 대한 이 분자의 담즙 과다분비이다. 따라서 간 콜레스테롤 억제는 담즙 결석 예방을 위한 한 중요한 표적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지방 섭취가 많은 식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담석증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담낭절제술와 체외충격파쇄석술이 많이 이용된다. 약물치료 방법으로 담즙내 콜레스테롤의 과포화를 억제 하는 담석용해제 CDCA, 콜레스테롤 흡수 감소시키는 UDCA가 사용되고 있다.
○ 한편 갯무 일종(Raphanus sativus L. var. niger)은 담석 형성과 병태생리학적 불균형 상태를 초래하여 담석을 형성하여 활성산소종을 예방하는 천연약제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갯무(Raphanus sativus L. var. hortensis for. raphanisteroides Makino)와는 같은 종에 속하므로 효능에 관한 생물 및 식물화학적 연구가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Castro-Torres, I., O-Arcinega, M. D., Gallegos-Estudillo, J.,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28()
- 잡지명
- Phytotherapy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67~171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