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을 위한 검토

전문가 제언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 우려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촉구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기술은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CCS 기술적인 측면에서, 이산화탄소 포집, 분리, 운송, 저장, 누출, 모니터링 및 전 과정 온실가스 분석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볼 때 CCS 기술시장은 시장형성 단계로서, 이산화탄소 배출권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CCS 기술시장도 성장된다. 오는 ‘20년 CCS기술 관련 세계시장규모는 약 $3,300억(약 396조원), 한국시장 규모는 약 $44억(약 5.2조원)으로 예측된다.

 

미국 에너지부(DOE)는 퓨처젠 2.0 프로젝트를 위해 퓨처젠 산업연합에게 약 10억불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 퓨처젠 2.0 프로젝트는 세계 최초의 상업용 규모의 석탄을 이용하는 순산소전력 생산 프로젝트와 탄소 포집 및 지중 저장이 연계되는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에너지부의 결정은 퓨처젠 2.0 프로젝트를 위한 최종 환경영향 보고서(EIS)에 포함되어 있는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EIS는 플랜트의 건설과 운영과 관련된 잠재적인 환경 영향들을 평가한다.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이산화탄소 포집 플랜트가 최근에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준공되는 10MW 연소 후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 파일럿 플랜트는 세계 최초로 화력발전소에 적용된 포집 설비로 민관 합동 기술개발 노력을 통해 일궈낸 성과다.

우리 정부는 탄소 포집·저장 종합추진계획에 따라 지난 2010년부터 범부처 기술개발 투자를 지속해 왔다. 포집분야에서 지난해 10MW 연소 후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파일럿 플랜트를 준공한데 이어 이번 건식 파일럿 플랜트 건설에 성공함으로써 이산화탄소 CCS 기술 상용화를 촉진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저자
Dennis Y.C. Leung, Giorgio Caramann, M. Mercedes Maroto-Val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9()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26~443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