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미립 SiC/AZ31B Mg합금 복합재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

전문가 제언

마그네슘 합금을 기지로 한 복합재료(Magnesium Matrix Composites, MMCs)는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강도, 강성, 내마모성이 비교적 낮은 마그네슘 합금의 약점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보강재로는 고강도, 고강성, 고경도의 SiC, Al2O3, CNT 등이 많이 사용되나, 그것들의 첨가량이 어느 정도를 초과하면 입자들의 기지 내 응집현상이 발생하여 오히려 재료의 성능을 해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브마이크론(~0.5㎛) SiCp(SiC particles)의 효과적 첨가와 혼합에 의해 그와 같은 약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MMC 제조에는 용탕을 기계적으로 교반하는 소위 교반주조(stir casting)법이 주로 사용되지만, 이 방법으로는 보강재의 첨가량이 증가할 경우 보강재를 기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교반주조 후에 초음파 처리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여 SiCp의 첨가량을 최대 10vol.%까지 높인 SiCp/AZ31B MMC의 제조에 성공하였다. 균일하게 분산된 다량의 초미립 SiCp로 인한 결정립미세화 덕분에 열간압출에 의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었다.

 

외국에서의 MMC 연구는 보강재의 사이즈를 점점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나노사이즈의 보강재를 사용하는 MMNC(Metal Matrix Nano-Composites)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물론 보강재의 사이즈가 점차 작아짐에 따라 보강재 입자를 기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은 더욱 어려워진다. 따라서 전술의 교반주조를 비롯하여 분말야금, 가압주조, 초음파진동법, 스프레이성형, 무압침투법 등 다양한 혼합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2000년 이후 국내의 MMC 연구사례는 ‘SiCp/AZ91D MMC(대한금속재료학회지, 2002)’와 ‘CNT/AZ31 MMC(Proc.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erospace Technology, 2010)’의 두 건 뿐이다. 최근 고조되고 있는 마그네슘 합금에 대한 국내 연구진의 많은 연구노력과 비교할 때 MMC에 대한 무관심은 놀라운 일이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강도와 경량성을 겸비한 MMC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M.J. Shen, X.J. Wang, C.D. Li, M.F. Zhang, X.S. Hu, M.Y. Zheng, K. W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54()
잡지명
Materials & Design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36~442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