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이금형을 포함한 금형절삭 가공의 동향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자동차 공업에서는 탄산가스배출 억제를 위하여 자동차 경량화가 세계적 과제로 되어있다. 경량화 중에 Al, Mg 경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스테어링 휠, 실린더헤드카버 등 여러 부품을 다이캐스팅법으로 제조하고 있다. 특히 다이캐스팅 금형은 내열, 고강도, 고인성 금형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정밀 절삭가공 시의 가공법이나 절삭 공구도 잘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고강도 취성이 높은 금형의 정밀 가공을 머신센터를 중심으로 절삭가공에 대한 중요한 기술 자료를 제시하였다.

 

다이캐스트용 금형 재료는 용탕과 접촉하는 캐비티 입자, 런너 부, 분류자 등에는 내열성, 내마모성, 고강도, 고인성이 요구되어 열간 공구강인 SKD61 및 SKD61 개량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 재료의 경도는 50HRC 이상임으로 고경도 금형 절삭가공용 공구가 특별히 필요하다.

 

현재 금형 가공용 공구로 초경합금을 다이아몬드 코팅 하거나 포리결정다이아몬드 코팅(PCD)공구를 사용하여 마무리 가공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소재의 경도가 높고 취성이 있기 때문에 절삭가공 중에 결손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는 공작기계의 특성을 이해 한 위에 절삭조건 설정이 대단히 중요하다.

 

금형 생산비용은 머신센터에 의한 절삭가공만으로 마무리비용이기를 요망하나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제국은 공구를 선정하는 것과 조달이 금형가공비용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도 (주)동우에이치에스티, (주)신아 열처리, 제일진공에이치티 등 다수의 금형 열처리공장과 일성DMI, 중앙풀라텍 등 금형제작업소 등이 대형 금형이나 소형 금형의 정밀 미세 절삭가공을 하고 있으며 초경 공구는 대구테크나 한국야금 및 중소기업에서 텅구스텐카바이드계 초경공구가 생산되고 있으나 초경공구에 다이아몬드 코팅 공구는 수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도 머신센터나 특수공구개발에 정부나 기업 연구기관이 연대하여 개발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저자
Yabe Wakotobu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55(10)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8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