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수소 MgH2와 연료전지를 이용한 휴대형발전기
- 전문가 제언
-
○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는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로 구동시키는 전기자동차의 일종이다. 모터에서부터 바퀴에 이르는 구조는 일반 전기자동차와 같지만 기존의 전기자동차와는 달리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를 생산하면서 모트를 작동시켜 차를 달리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연료전지만으로는 전기를 만들 수 없고 연료전지 주위에 운전에 필요한 주변장치를 설치하여 이 장치들이 자동차운전 상항에 따라 연료전지에 필요한 양의 연료와 공기를 공급해 주고 적당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냉각수도 돌려주게 된다.
○ 이와 같이 연료전지와 연료전지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주변장치를 합쳐서 연료전지시스템이라 한다. 수송용 연료전지 중에 자동차의 주요 동력으로 사용되는 연료전지는 대표적으로 프로톤 교환막 연료전지(PEMFC)이며 기본이 되는 연료는 수소이다. 수소 이외에 메탄올, 가솔린, 디젤, 천연가스와 같은 연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들 연료로부터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별도의 연료변환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 연료전지 개발초기에는 연료 변환기가 장착된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연료변환장치를 자동차에 장착하지 않고 수소 충전소에서 연료변환을 통해 생산된 수소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시스템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조는 연료저장시스템, 전기 동력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고 고압 수소탱크에서 연료전지 연료인 수소가 공급되며 전기화학 반응에 필요한 산소는 대기 중의 공기로부터 공급된다.
○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된 수소는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수소탱크의 수소와 혼합되어 다시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기술연구원을 비롯하여 출연연구원과 대학, 기업 등에서 수소를 이용한 연료전지와 연료전지가동에 상당한 수준의 연구개발이 진행되었고 현재도 연구를 계속하여 실용화를 위한 실증시험 중에 있다.
- 저자
- Tsukasa Shimojima etc.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13(4)
- 잡지명
- 燃料電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1~35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