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자동차와 태양광발전을 사용한 쌍방향 에너지시스템 평가

전문가 제언

옥외주차장이 있는 직장에 출퇴근 왕복거리 28km인 근무자가 출근하여 근무하는 주간에 태양전지로 전기자동차에 충전하는 스마트 PV-EV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Okayama대학을 근무지로 가정한 실험을 통하여 이 시스템이 효율적이며 온실가스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시스템임을 입증한 보고서이다. PV충전량이 왕복거리주행에 필요한 전력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귀가 후에 LED조면 DC냉장고 등 직류구동 가전제품에서 사용한다.

 

PV설치면적은 옥외주자장에 통근자 EV 점유면적과 같은 크기로 하고 24kWh의 이차전지용량을 갖는 EV를 사용한다. 철저하게 직류-교류 변환과정을 배제하여 에너지이용효율을 높였다. 근무지에서의 PV설치비용은 근무자에게 지급하고 있는 통근수당으로 충당하고 EV 만충전 후에도 남는 PV잉여전력은 근무기업에서 사용하면 기업-근로자 win-win 전략임을 강조한다.

 

전기자동차시범사업단지인 제주도에서 주간에 세워놓고 있는 근무지 주차장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하여 여기서 발전되는 전력을 전력변환 없이 직접 전기자동차에 충전하는 운영방식은 크게 노천주차에 따르는 각종 어려움을 저감하면서 노지의 효율적인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화력발전의존이 큰 제주도에서는 온실가스배출저감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세계에너지기구(IEA), 일본의 신에너지 산업기술종합연구소(NEDO), 핀란드/유럽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 삼성물산의 한국형 마이크로에너지그리드 프로젝트, RTE-인터내셔널의 프랑스그리드 솔루션 등 각종 스마트그리드 모델들이 세계 각국에서 개발되고 시범 운용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태양광,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와 스마트미터를 전력망에 전력변환장치를 거쳐 연결하는 것을 전제로 운용되고 있다. 이 보고서가 제안하고 있는 것보다는 재생에너지이용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다.

저자
T. Nakagawa and Y. Mitsumo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93(8)
잡지명
日本エネルギ―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16~724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