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MS/MS에 의한 농산물 중의 인산처리 잔류농약 다성분 분석법의 타당성 평가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잔류농약 분석은 화학 분석 중에서도 mg/kg 이하의 분석 대상성분을 고감도로 검출하고 정량하는 미량분석 분야이며, 다양한 검체 형태로부터 혼입되는 방해 성분들의 제거방법이 복잡하여 가장 어려운 화학분석으로 인식되고 있다.
○ 작물 재배 시 사용되는 농약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수백 성분에 달하므로 잔류농약 분석법은 그 분석 목적과 1회당 분석성분 수에 따라 다성분 분석법(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과 개별 분석법 (individual analytical method)으로 대별된다.
○ 개별 분석법은 개별 농약성분별로 최적화시킨 분석법으로 다성분 분석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분석의 효율은 낮으나 최고의 분석 감도, 정밀성 및 신뢰도가 보장된다. 따라서 어떠한 검체의 다성분 검색 결과 검출된 의심성분을 보다 정확히 정성 및 정량되며, 특히 법적 및 행정적 목적으로 분석의 신뢰성이 요구될 때 많이 이용된다.
○ 두 분석체계간 보완적 특성에 따라 미국 FDA에서는 1960년대부터 다성분 분석법과 더불어 개별 분석법을 Pesticide Analytical Manual (PAM) method에 포함시켜 적용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처(KFDA)에서 2종의 다성분 분석법과 더불어 150여종의 개별 분석법을고시하여 두 분석법 체계를 함께 운용하고 있다.
○ 잔류농약 분석법은 동일한 분석 대상성분이라도 검체의 종류에 따라 그 분석법이 상이한 경우가 많다. 즉 대상 검체에 따라 추출효율, 방해물질의 종류 및 양이 매우 다르므로 식품 종류에 따라 특화된 추출 및 정제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식품 검체에서는 유지 함량 (2%)에 따라 비유지 및 유지 검체로 구분하며 추출 및 정제 방법이 상이하다. 또한 당 함량(5% 이하, 5~15%, 15% 이상) 및 수분함량 (75%)에 따라 추출방법이 상이하며 기타 특수 간섭물질이 관찰되는 검체에 따라 특화된 추출 및 정제법이 사용된다.
- 저자
- Yuhki makabe, Hiroshi Takahashi, Tomoko enomot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55(4)
- 잡지명
- 食品衛生學雜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88~192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