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레이저 클래딩에서 용융지의 응고거동

전문가 제언

고밀도의 레이저 열원을 이용하여 재료의 표면특성을 개량하는 레이저 표면개질(laser surface modification) 기술의 한 종류인 레이저 클래딩(laser cladding) 기술은 아크오버레이에 비해 입열량이 적고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자동차산업, 발전설비 분야, 해양설비, 방산, 항공우주산업 등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레이저 클래딩 용융지의 응고금속은 일반적인 주물공정의 응고금속에 비해 냉각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레이저 클래딩 용착금속의 응고조직을 예측하는 모델링을 설정하고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클래딩 용착금속의 미세조직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는 ­액 계면에서의 용융금속내의 온도구배(G)와 응고속도(R)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장에서 수동식 피복아크 오버레이 공정을 대신하여 자동식 레이저 클래딩 공정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자동화에 적합하도록 클래딩 대상 제품의 디자인을 수정하고, 연속적인 클래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특수한 수냉 장치를 장착하며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단층 비드용 HPDD 레이저 클래딩 절차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용착금속에 대한 야금학적 연구를 통하여 클래딩 층의 높은 용접품질을 확보해야 한다.

 

레이저 클래딩에 사용하는 용가재의 선정할 때는 클래딩을 실행하는 과정에 용융지에서 발생하는 야금학적 결함을 상쇄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특수한 화학조성을 갖춘 용가재 분말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자동차산업, 에너지설비, 항공우주 산업용 기계류 부품의 품질향상과 대외 경쟁력의 확보를 위해서는 국내의 레이저 클래딩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레이저 클래딩의 공정변수에 따른 클래딩층의 특성을 규명한 이 자료는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국내의 레이저클래딩 기술수준을 높이는데 매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저자
Y. S. Lee, M. Nordi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93(8)
잡지명
Weld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92~300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