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선 도료에 있는 Pb의 이동도와 생물 접근 가능성
- 전문가 제언
-
○ 폐선으로부터 시료로 추출된 Pb가 첨가된 도료 잔해는 Pb의 이동도와 생물 접근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다양한 양의 깨끗한 하구 퇴적물의 부분 표본에 첨가되었다. 해수에 의하여 이동된 Pb의 농도는 도료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서 증가되었지만 이동된 전체 Pb의 비율은 도료가 없는 퇴적물에서 가장 컸다. Pb 이동도는 퇴적물 섭식 무척추동물의 소화액 대용이고 단백질인 소혈청알부민에서 향상되었지만 이동된 Pb의 비율은 도료가 없는 퇴적물에서 가장 컸다. 도료가 없는 퇴적물보다 오염된 퇴적물에서 더 낮은 비율의 이동도와 생물 접근 가능성은 도료 매트릭스에서 Pb 화합물의 비교적 낮은 용해도와 처리 용이성의 결과이었다. Pb의 낮은 이동도에도 불구하고 0.2%의 적은 도료로 오염된 퇴적물이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용해 농도를 야기할 것이다.
○ 선박업계의 해양 부착 생물로 인한 막대한 손실을 방지하고자 중금속인 Pb가 함유된 방오 도료가 사용된다. Pb는 식품과 음료뿐만 아니라, 오염된 대기, Pb가 포함된 토양, 환경이 열악한 산업시설에서 나오는 분진, 자동차 매연, Pb가 함유된 도료 등을 통하여 노출되어 그 오염도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도료업계는 방오 도료가 인간과 환경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독일 Mainz대학교의 Johannes Gutenberg 교수는 오산화바나듐 나노입자가 선박이 물과 접촉되는 부위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Mainz 소재 Max Plank for Chemistry 소속의 Claus Peter Jochume이 주도하는 연구팀이 오산화바나듐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연구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선박용 방오 도료보다 환경에 덜 손상을 주는 새로운 물질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서는 Pb 오염 토양 복원, 혼합 토양내의 Pb와 Cd의 이동 특성, 생물 여과층에 의한 Pb의 이동 억제에 관한 연구 등은 있었지만 폐선 도료의 Pb에 관한 연구는 드물었다.
○ 폐선의 Pb 함유 도료와 관련된 위험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그 연구에는 인간을 포함한 생물에 대한 Pb의 생물 접근 가능성과 연안 먹이사슬에서 Pb의 축적과 이동에 대한 잠재력이 포함되어야 한다.
- 저자
- Andrew Turne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89()
- 잡지명
- Marine Pollution Bulleti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5~39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