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전지의 전열 분석과 문제점
- 전문가 제언
-
○ 리튬이온 전지는 스마트폰, Tablet PC, 디지털 카메라 제품은 물론 전기자동차(EVs)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s)에 필수적인 부품이다. 하지만 리튬이온 전지의 수명과 안전성에 관련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최근 리튬이온 전지의 수명향상과 관련하여 스마트폰이나 자동차 리튬이온 전지 팩의 안전성 확보와 촉매의 성능 감소원인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 리튬이온 전지는 1991년에 일본 Sony사가 최초로 상용화 하였으며 세계 점유율 1위를 자랑하던 Sanyo전기는 Panasonic사에 합병되었다. Sony사는 최근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주력 생산거점이었던 Sendai Technology사가 파산함에 따라 세계시장 점유율이 하락하였다. 이에 2011년부터 국내의 삼성SDI, LG화학사가 일본의 점유율을 추월하게 되었다. 최근 4~5년 사이에 국내 기업은 기술을 착실히 연마하면서 일본을 앞서고 있다.
○ 국내에서는 최근 한국전지조합이 설립되면서부터 리튬이온 전지개발을 위한 전지정보 분석을 제공해 주고 있다. 국내에서 전지조합이 설립되면서부터 연료전지 실용화,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 정보제공과 함께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사업과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연료전지 개발실에서는 전지 팩의 보급 판매단계를 위한 법규 및 안전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일본의 Mitsui화학, Showa전공사는 한국의 중소전지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거래처 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 리튬이온 전지의 전기적, 열적 분석기술은 연료전지 자동차 촉매의 성능 감소의 원인 해석과 분석에 필수적이다. 향후 국내 기업의 리튬이온 전지 팩 개발에 있어서, 전지의 사용 수명연장과 누액이나 폭발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제조현장에서 전열 분석기술이 필수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전지의 전열분석 측정기술을 응용 적용함으로써 자동차의 전지 수명 향상과 출력 성능개선에 다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L.H. Saw,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131()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7~107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