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탄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종래 정밀 세정분야에서는 탁월한 세정력을 가진 세정제로서 1,1,1-TCE와 CFC-113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물질이 오존층 파괴 물질로서 지적되고, 생산 및 사용이 규제됨에 따라 대체 세정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많은 종류의 대체 세정제 및 장치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지만 1,1,1-TCE 및 CFC-113의 성능에 필적할만한 세정력을 갖추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세정제는 크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생성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산업용 세척제와 일반 가정에서 세탁 및 청소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가정용 세제로 구분된다. 국내 시장의 경우, 가정용 세제는 LG생활건강, 애경산업, CJ, 태평양, LG화학 등이 생산하고 있으며, 해외 업체로는 Unilever, Henkel 등이 주도하고 있다. 산업용 세정제는 SK, 이수화학, 범우화학 등이 생산하고 있다.
○ 이 발명은 점탄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의 조제에 관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증점제로서 유사 가교제(pseudo linker agent)가 첨가된다. 이 세정제 조성은 종래의 것과는 달리 점탄성을 유지하기 위한 고분자 증점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적당한 점도의 유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허청구권 범위를 보면 공지의 배합기술로서 특허권 침해의 여지는 적으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 향후 세정제의 기술개발 방향은 특수한 용도의 개발과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생분해성 세정제 등 환경배려형과 함께 기능성이 합쳐진 다기능성 세정제, 인체의 안정성을 높인 저자극성 및 무독성 세정제, 미생물을 이용하는 세정제 등 고기능성 고부가가치형 세정제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국내의 경우, 한국정밀화학진흥회에서는 대체 세정제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삼성정밀화학, 이수화학, SK 등 대기업 차원에서의 대체 세정제 연구개발이나 LG산전, 대일초음파, 한일초음파 등이 세정장치를 개발하고 있어 향후 국내 대체 세정제 및 세정기술의 개발은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Ecolab USA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85273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6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