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활성화 감압 접착제

전문가 제언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접착제 분야에서도 환경에 우수한 접착제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VOC(휘발성 유기용제) 문제 때문에 접착제 산업은 물론 모든 산업분야에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수계화 및 무용제화로의 전환 움직임이 활발하다.

더욱이 최근 전 산업분야에서 제품의 경량화, 소형화, 공정 간편화 등이 추진되는 것에 부응하여 부품의 접합기술도 볼트/너트, 리벳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에서 열융착, 접착제, 점착제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접합으로 대체 가능한 기술로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접합기술은 적용제품의 복잡화, 외형의 감성화 그리고 무게의 경량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 발명은 우수한 접착성능과 블로킹 특성(blocking property)을 발현할 수 있는 열활성화 감압 접착제의 조성 및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이 감압 접착제는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 점착부여제 및 가소제의 3성분으로 구성된다. 접착제 조성물은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 상에 도포되어 건조된다. 이 열활성 감압 접착제는 라이너가 필요 없는 라벨의 제조에 유용하다. 특허청구권 범위를 보면, 기존 공지된 화합물의 배합기술이 주류이므로 배합되는 화합물 및 첨가비율 등을 유의하면 특허침해의 우려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감압 접착제의 초기 용도로는 주로 생고무 라텍스를 이용한 전기절연용 테이프 코팅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근년에는 제품수출이 신장됨에 따라 포장 테이프용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국내의 감압 접착제는 아크릴수지계가 주류이며, 이어서 합성고무계 등이 생산되고 있다.

향후 접착기술의 개발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우리나라의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 기반기술로서의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바이오칩용 생체접착제, 차세대 반도체 공정테이프, 공정 단순화 및 경량화를 위한 구조용 접착제, 태양전지나 연료전지 등의 신재생에너지 모듈용 접착제 등 선도산업의 기술공정에 적합한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저자
Rohm and Haas Company, Dow Global Technologies LL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WO20140093043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4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