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농업에서 항생제 사용의 영향: 이득과 위험성의 실체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동물의 항생제 사용은 이득과 위험성의 양면성을 갖고 있다. 가축에게 항생제를 사용하는 경우, 성장 속도의 증가 등 많은 이득이 있는 반면, 사람에 슈퍼박테리아의 출현 등의 위험성을 갖고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현황을 평가하고 농업 생태계에서의 저항성 세균과 관련 유전자들의 흐름을 규명할 필요가 있어 이에 관련된 문헌을 소개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가축에서 사용되는 항생제 양은 수의사의 처방에 의한 사용 보다 동물 성장 촉진제로서의 사용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가축에서의 항생제 사용은 돼지에서 약 55 % 내지 57%이며 닭에서 18% 내지 24% 그리고 수산용으로 11 내지 17%가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실제 사용되는 항생제는 tetracycline 계열이 전체 사용량의 약 40 %내지 50%를 차지하며 다음이 sulfonamides, penicilline 순으로 조사되고 있다. Cephalosporins 계열 항생제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고 있다.

 

사료에서의 항생제 사용 금지가 단계적으로 시행되어 왔으며 2011년에 완전히 금지됨에 농업에서의 직접적인 항생제 사용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농업 생태계에 들어간 항생제 저항성 세균과 유전인자들의 흐름과 소장 관계를 정확히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농업 방법에 따른 항생제 저항성의 상관관계를 자세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정확한 미생물학적 방법의 사용 등에 의한 연구의 수행이 요구된다. 또한 사람에서의 저항성 세균의 기원에 관한 임상적 규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환경과 농업 생태계에서의 항생제 저항성 균과 저항성 유전자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국내 농업 생태계에서의 저항성 흐름을 규명함과 동시에 이미 수행된 외국의 연구 결과에 대한 정보 확보, 생태계에의 유입 감소를 위한 각종 조치 등이 필요하다. 또한 항생제 사용을 대체한 보다 품질이 향상된 프로바이오틱스의 사용 증가가 권장된다.

저자
Lisa M Durso, Kimberly L Coo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9()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7~44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