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발도상국의 길거리 식품에 대한 독성학적 위험의 식별 및 관리

전문가 제언

이 리뷰는 개발도상국에서 길거리식품의 제조에 관한 주의와 또 관련된 위험의 조정과 판매를 위해 주의할 특정 내용을 제안하고 있다. 길거리식품 판매에 있어 제안된 조치는 포괄적이고, 최신 소비자의 안전을 향상시기 위해 생물학적 위험요인의 예방을 포함하고 있다. 더 큰 인식과 예방조치는 화학적 및 독성학적 위험요인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1996WHO길거리식품이란 노상이나 기타 공공장소에서 노점 상인에 의하여 만들어져 판매되는 식품이나 음료로서 즉석에서 섭취되거나 더 이상의 가공처리 없이 일정 시간 후에 섭취되는 것을 말한다.’ 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는 즉석에서 섭취하기 위해 지정된 노상 판매 장소에서 판매되는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도 포함된다.

 

국내연구로는 2014년 서는 계절에 따른 길거리 제조식품의 미생물 오염 특성, 2012년 장 등은 그린 푸드 존 내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발표했다. 20083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뢰를 받아 실시한 길거리 음식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연구보고서에서, 길거리 음식 대부분에서 세균이 다량 증식하고 있었고 먹는 물의 세균오염도 심각한 상태로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하는 길거리식품은 많은 사람이 이용하지만 식품위생법은 길거리 음식점에 대한 별도의 규정은 없다. 식약청은 2009길거리식품의 위생관리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2007년 한 조사를 따르면, 길거리식품 판매종사자의 위생복 등의, 착용실태는 가장 높은 지역이 18.9% 정도이고 대부분 1%도 못 미치는 열악한 상태였다.

 

길거리식품에 관한 논의는 첨예한 이해 당사자가 있고 양면성이 뚜렷하여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이제는 길거리식품에 대한 식품으로서의 가치와 중요성을 학술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아울려 사회적, 경제적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조명할 수 있는 학제적인 연구를 길거리식품 문제를 발전적으로 해결하는 접근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저자
Ilaria Proiett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3()
잡지명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43~152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