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치아 상아질 접착제의 용매기술 고찰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치아 상아질에의 레진 접착은 에나멜 층에의 접착보다 내구성이 적어, 상아질 접착은 오늘까지 큰 과제였다. 현재 복잡한 상아질 접착 시스템은 크게 개선되어 소위 7세대 접착제가 개발되어 있지만, 아직도 개선할 과제가 있다. 상아질 접착의 장기적 내구성이 짧은 것은 접착제의 보관과 시술이 부적합한 것도 한 이유이다. 치과 접착제는 모두 비슷한 조성으로 되어 있으며, 소수성 및 친수성 메타클릴산 염 모노머, 휘발성 용매, 광개시제 및 공동-개시제를 포함한다. 접착제 조성은 제조자가 공개하는 MSDS 데이터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용매는 치과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써, 레진을 에나멜과 상아질에 최적의 상태로 접착시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이러한 중요한 접착제 성분을 문헌에서 아직 깊이 다루지 않았다. 본 리뷰에서는 상아질 접착에서 용매의 역할과 용매에 관련된 문제점, 및 접착 과정에서 용매 제거를 촉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최신의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치과용 접착제 시장은 미국, 일본, 독일이 주도하고 있다. 국내 치과용 접착제 연구에는 민정범의 “에탄올의 첨가가 치과용 접착제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및 김광만의 중소기업청 과제 “생체적합성 자가부식형 치과용 접착제의 개발”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치과용 접착제 생산은 베리콤, 메타바이오메드 및 덴키스트 등 중소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국산 치과용 접착제는 품질이 우수한데도 시판된 지 일천하여 아직 신뢰도가 확보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학교 치의학연구소의 김용일 등은 최근의 “다양한 세대별 치과용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누출과 미세인장접착강도 평가”에서 총 8종의 상아질 접착제를 시험에 사용하였는데, 우리나라 베리콤의 7세대 접착제인 U-Bond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한국접착치의학회에서는 최근 치과용 접착제와 시멘트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임상노하우에 대한 지견을 나누는 학술대회를 가졌는데, 보고된 접착제 목록에 국산 접착제는 없었다. 국내 치과용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학계와 임상계도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anikandan Ekambaram, Cynthia Kar Yung Yiu, Jukka Pekka Matinlinn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57()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Adhesion & Adhesiv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2~33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