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발효식품과 프로바이오틱스
- 전문가 제언
-
○ 프로바이오틱스는 ‘적랑량 섭취했을 때 숙주에게 건강이익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말하며 이 미생물은 먹어도 되는 안전한 미생물이어야 한다. 현재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은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Leuconostoc, Weissella, Pediococcus, Streptococcus, Enterococcus, Lactococcus 속의 유산균, Saccharomyces, Torulopsis 속의 효모, Bacillus, Clostridium 속의 박테리아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 이 리뷰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정의와 왜 아프리카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중요한지를 설명하고 아프리카의 전통발효식품 특히 비알콜성 곡물(옥수수, 수수, 기장) 발효식품, 전분성근채류(카사바) 발효식품, 동물성 발효식품(발효유제품)과 발효관련 미생물에 대하여 심도 있게 정리하였다. 또한 영양실조와 사망률이 많은 아프리카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생산 및 유통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프로바이오틱스는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식품과 일부 특이질환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바이오틱스의 전망은 매우 밝다. 현재 국내에서는 장내 유해세균을 억제하는 양돈용 프로바이오틱스 개발을 위한 비피도박테리아 탐색(이재연 등 2014), 인체 장 모델 시스템에 의한 열무김치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선발(강미란 등 2012) 등 많은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 프로바이오틱스는 숙주 면역시스템 조절, 유해미생물의 생육억제, 설사 및 알레르기 예방, 혈중 콜레스테롤 및 혈압 감소 등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은 모든 균주가 동일한 것이 아니고 균주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한 균주를 탐색, 선발할 필요가 있다. 현재 프로바이오틱스는 주로 위장관의 건강에 이용되고 있지만 피부, 구강, 생식기, 호흡기 등 위장관 이외의 신체건강에도 이용될 수 있다.
- 저자
- Nabil Benomar, Gregor Reid, Antonio Galvez,Wilhelm H. Holzapfe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90()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4~96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