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학적 폐수처리 시스템에서 태양광에너지 이용 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최근 수십 년간 놀랍도록 빠르게 개발되고 있는 기술들은 새로운 화학물질과 재료 및 복잡한 공정을 도입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다량의 오염물질들이 환경으로 방출되고 있다.
○ 국내에서는 2011년부터 환경부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하·폐수처리 고도기술 개발 프로젝트가 기획되고 세계수준의 기술개발을 목표로 2016년까지 1단계 연구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 새로운 하·폐수처리기술이 개발되어 기존의 하수처리 기술보다 경제성이 뛰어나고 기존기술로 제거되지 않는 물질이 제거될 수 있는 고도의 처리기술의 개발은 수질오염, 수자원, 에너지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돌파구이다.
○ 본문에서는, 높은 제거효율, 청정에너지 전환, 낮은 환경영향, 용이한 가동과 설계 소형화와 같은 장점을 확보하기 위해 지하수 처리에 사용되는 전기화학적 기술이 개관되고 있다.
○ 또한, 개량형 광기전성 기술에 연계되고 있는 전기응고, 전기부유, 전기산화, 전기환원 및 전기소독 같은 전기화학적 방법들이 재조명되고 있으며, 최고 효율을 얻기 위한 중요 설계변수 연구결과는 이 기술이 청정에너지의 보충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커다란 잠재력을 제시하고 있다.
○ 이와 같은 새로운 폐수처리기술 연구동향은 국내 관련기술 개발 분야에서 필히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신진연구자 및 학생들의 독자적 탐구방향 설정에 조감도 역할을 해줄 것이다.
- 저자
- W.T.Mook, M.K.Aroua, G.Issabayev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38()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46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