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의 고진공 단열재 개발
- 전문가 제언
-
○ 대체 에너지의 부족과 지구 온난화 예방을 위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억제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인류가 소비하는 에너지를 줄여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현재 소비 에너지의 절반은 주거 및 상업용 냉난방에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냉난방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방안에서 중요한 것이 단열재이다.
○ 우리나라 단열재 시장은 유기 단열재인 발포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이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35%는 글라스 울, 암면 등의 무기 단열재가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진공 단열재는 단열 재료를 외피로 봉합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열전달 차단성능을 크게 개선한 제품이다. 이 문헌은 냉장고 등의 가전용에 사용하는 진공 단열재의 성능개선에 관한 것이다.
○ 진공 단열재는 그동안 일본이 선두를 지켜왔다. 최근에 냉장고용으로 사용되는 진공 단열재는 무기재료를 심재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무기재료는 글라스 울과 흄드 실리카 등이 사용된다.
○ 이 문헌에서 연구된 단열재의 심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유리섬유 물성의 개선, 무 바인더에 의한 심재성형, 유리섬유의 배향도 향상과 심재 내부의 수분과 공기제거에 대해 개선을 하였다. 상당히 자세한 분야까지 연구를 하여 국내에서 개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국내의 가전업계나 건축재료 제조 업계도 이 분야에 연구를 하고, 일부회사는 여러 개의 특허를 등록하고 있다. 특히, 글라스울이나 흄드 실리카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냉장고 이외에도 건축 재료용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 외에도 대학이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에서 진공단열재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고 있다.
○ 단열재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단열재보다 새로운 단열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 최신 단열재와 미래 단열재에 대한 연구와 실용화는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수준이다. 최신 단열재 개발에 지속적으로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Akiko YUAS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49(8)
- 잡지명
- セラミ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48~652
- 분석자
- 김*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