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차-결합된 액체-결정질 구조의 광 이동성 중합체물질
- 전문가 제언
-
○ 폴리머-기반의 자극-반응 중합체와 물질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외부자극을 감지하여 다른 변화로 전환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높은 흥미로 연구되고 있다. 히드로겔-기반의 박-필름, 조립체 및 입자는 조직설계, 밸브 및 작동기 등의 많은 잠재적인 응용물질로 지목되고 있다. 최근 액체결정체(LCs)분자배열은 전기에 의한 빛 투과조절에 의해 환상적인 성질을 가진 액체-결정 중합체(LCPs)를 조립할 수 있다.
○ 연구자는 광선의 조사에 의해 거시적으로 변형되는 LCPs에 조점을 두고 교차 결합한 LCP(CLCPs)에서, 열, 전기 및 빛과 같은 자극에 의해 거시적인 변형을 유도하였다. 이 논문에서 광 이동성 중합체 물질의 조립과 이의 메커니즘의 규명에 의해 CLCPs의 새로운 분자설계와 광 이동성 물질의 제조방법을 소개하였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유연한 플라스틱 시트에 CLCP층의 적층에 의해서 좋은 기계적 성질을 가진 광이동성 물질을 제조하였다.
○ 우리나라의 경우 ‘조공제를 이용한 다공성 폴리비닐알콜(PVA) 지지 체의 제조방법’과 관련한 미국특허를 취득했다. 이 방법은 PVA를 연골 치료용 이식재로서 환자의 연골부위에 이식하면 작은 구멍을 통해 환자세포와 성장인자 등이 쉽게 침투하여 자기조직 재생속도가 크게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는 한양대, KIST 등에서 주입형 히드로겔과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 시스템개발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교차 결합한 CLCPs에서, 메소겐(mesogens)의 배향은 중합체 주- 쇄의 형태로 짝지어져 열, 전기 및 빛과 같은 외부자극에 의해 거시적인 변형을 유도한다는 사실에 의해 새로운 분자설계와 광이동성 물질의 제조방법이 가능해 졌다. 이로서 반응성-폴리머-기반의 작동기의 물질실현의 전망이 높아 인공근육, 인공뼈, 로봇 팔, 의료용 모터 및 진동 레버와 같은 마이크로작동기의 다양한 모델의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 저자
- Toru Ube and Tomiki Ike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3()
- 잡지명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290~10299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