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네델란드의 학문적 발명과 특허

전문가 제언

이글은 “네델란드의 학문적 발명과 특허: 사업활용에 관한 사례연구” 주제 하에 서론, 방법론 및 정보소스, 연구결과, 일반적 관찰 및 결론으로 구성되었다. 오늘날 산업지향의 기업가정신의 대학에서 대학의 연구자들은 많은 형태를 창출할 수 있으며 기업과 상호작용하고 협력하기 위하여 여러 경로를 따를 수 있다. 산학연결과 대학연구의 상용화는 산업의 R&D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며 그 역도 마찬가지 이다.

이글은 네덜란드에 있는 9개 대학과 3개 대학의료센터의 연구와 여러 분야의 IP 활용에 기반을 두고 후속적, 과학적 연구를 정교화 한 사례연구에서 특허활용을 확인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기술한다. 이글은 대학연구의 특허에 기반을 둔 국내기업과 자기업에 의한 지식재산의 확인과 활용을 다룬다. 정교한 준자동데이터수집추론법이 2000-2001년 사이에 출원된 모든 관련된 대학발명특허를 확인하기 위하여 채택되었다.

대학의 과학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거나 대학발명과 관련된 총 2,898건 의 특허출원이 확인되었다. 이들 대학발명 중 952건에 대하여 특허출원이 대학 그 자신에 의하여 출원되었다. 대학기반관련 특허출원의 전체 수는 네델란드 기원의 특허출원의 5%에 달한다. IP에 기반을 둔 대학연구를 활용한 기업 간의 후속적 조사가 제품, 시장개척, 특허의 추계된 금전가치에 참여한 인력의 면에서 IP의 실제적 사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조사에 78개의 기업이 응답했다. 연구결과는 다양한 활용전략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특허의 50% 이상이 여전히 개발 및 혁신을 위하여 사용되기 위하여 대기 중이다. 우리나라는 2012년 대학특허출원이 12,233건으로 우리나라 전체의 총 특허출원 188,305건의 약 15.5%를 점하고 있다. 대학발명의 출원은 점차 TTO를 중심으로 한 대학 및 대학발명가에게 귀속하고 있다. 향후연구는 대학자기업에 의한 직업창출 등 고용효과, 대학발명의 귀속주체, 금전적 가치에 대한 추계 에 관한 정밀한 조사, 분석 및 그 방향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저자
Peter van Donge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4
권(호)
38()
잡지명
World Patent Inform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7~32
분석자
고*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