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모든 연령층에 대한 천식연구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천식환자는 기도에 염증을 일으켜 부어오르면서 기도가 좁아지며 매우 민감해짐으로서 흡입되는 어떤 성분들에 강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기도가 반응을 하면 기도의 세포들은 정상일 때보다 더 많은 점액을 분비하게 된다. 이러한 연쇄적 작용은 결국 천식증상(천명, 가슴통증, 숨가쁨 및 기침)을 일으키게 된다.

 

천식은 유전적인 인자와 환경적인 인자가 원인으로 유전적 인자는 부모(또는 어느 한쪽)로부터 받게 되며 이러한 유전적 천식은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에 나타나지만 호르몬 변화에 의해 사춘기에 들어설 때까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환경적 천식은 연령, 성별, 인종적 배경과는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어린이는 유전적인 천식뿐만 아니라 환경적 천식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어린이는 이 두가지 천식원인에 취약하다. 아주 어릴 때 항생제를 취한 어린이는 자기방어능이 낮기 때문에 천식을 갖기 쉽다. 태아가 자궁내에 있는 동안 어머니가 항생제를 취한 경우의 어린이도 같은 이유로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다.

 

2011년 국내 총 천식환자 218만명 중 12세 이하 환자수가 94만명으로 4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특히 중국황사 등 환경오염으로 발병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적 유발인자보다는 오히려 이에 대한 민감한 유전적 체질에 따른 발병에 더욱 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천식이 복합적인 유전성 질병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다수의 유전자들이 이 질병의 감수성에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직 이들 유전자에 대한 역할은 불확실하지만 크로모솜 5 위치에 가장 유력한 영역 중 하나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 영역에 천식에서 보이는 염증반응의 핵심분자를 코드하는 유전자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관련 연구분야에서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업적 연구를 통해 발병메커니즘의 명확한 생물학적 경로를 밝혀내야만 유전적 체질에서 천식의 예방과 치료의 원인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저자
Michael D. Caban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133(1)
잡지명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7~33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