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HC가속기와 힉스입자의 발견

전문가 제언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Standard model)에서는 만물을 구성하는 기본입자로 쿼크(quark) 6개, 경입자(lepton) 6개와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4개의 게이지(gauge) 입자, 그리고 이들 입자와의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 질량을 부여하는 힉스입자(Higgs particle) 등 총 17개의 입자에 의해 자연계의 현상을 설명한다. 이 중 힉스입자는 가장 마지막으로 2012년에 발견된 입자로서 힉스입자의 발견은 현대물리학의 골격이 되는 표준모형의 완성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힉스입자의 실험적 확인은 유럽원자핵연구기구(CERN)의 대형가속기(LHC : Large Hadron Collider)에서 이루어졌다. LHC장치의 핵심부는 양자빔을 제어하는 초전도자석과 이의 냉각시스템이다. LHC에는 총 6,628대의 초전도자석이 있으며 가장 중요한 요소인 편향자석에 이용되는 초전도쌍극자석도 1,232대에 달한다. 재료기술 측면에서 LHC에는 초전도자석 외에 고성능 비자성강의 이용이 불가결의 요소가 되고 있다. 최첨단기술에 기여하는 철강재료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LHC의 초전도쌍극자석에는 균일하고 안정한 자장의 생성을 위해 비자성강 칼러(collar)재와 요크(yoke)재가 이용되는데 통상의 비자성강과는 달리 비투자율이 4.2K에서 1.0에 근접해야 한다. 또 칼러재는 초전도코일을 이루는 동과 유사한 열수축률이, 요크재는 철과 유사한 열수축률이 요구된다. LHC에는 이러한 특성을 만족하는 11,000톤의 칼러용 비자성 스테인리스강과 1,700톤의 요크용 고Mn(28%) 비자성강이 이용되고 있다. 입자가속기에 이처럼 대량의 철강재가 기능재료로서 이용된다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국내에는 포항공대에 방사광가속기가 있으나 X선 빔라인에서 주로 물질의 구조, 화학적 결합, 원자배열 등에 관한 연구에 이용되고 있으나 입자물리학 분야의 연구는 미국, 일본, 유럽 등 외국의 가속기연구소에 참여하여 수행되는 실정이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에서 2021년 완공을 목표로 중이온가속기의 건설이 추진되고 있으므로 완공 후의 가동에 필요한 빔 운용기술, 진공기술, 초전도자석기술, 그리드 컴퓨팅기술 등에 관한 대비가 필요하다.

저자
Takahiko Kond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19(8)
잡지명
ふえらむ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28~534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